관련 산업 성장 수도권과 양극화 해소 등 기대
대전지역의 문화콘텐츠 기업이 지역에서 원스톱 금융지원 서비스를 받을 길이 열렸다. 충청권 우수 콘텐츠 기업의 성장 기반 마련과 문화콘텐츠 산업의 지역간 양극화가 해소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대전시는 문화콘텐츠 기업의 자금조달을 위한 ’기술보증기금 문화콘텐츠금융센터‘를 유치했다고 13일 밝혔다. 기술보증기금 문화콘텐츠금융센터 대전 신설에 대한 기획재정부 심의 결과 조직 신설 및 인력증원이 최종 확정된 것.
문화콘텐츠금융센터는 고위험(High Risk)과 영세성으로 제도권 금융지원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문화콘텐츠 기업의 자금조달을 위한 보증 역할과 사업컨설팅 등 종합적인 문화산업 육성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보증기금의 특화 영업조직이다.
시는 지난해 지역 콘텐츠기업 금융지원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문화콘텐츠금융센터 대전 신설을 위한 기술보증기금과의 업무협약,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재정부, 국회 방문 등 센터 유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시는 올해 다시 대전센터 신설을 위해 기술보증기금과 힘을 모아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재정부에 대전센터 신설의 필요성 및 타당성 등을 지속적으로 건의해 마침내 대전센터 조직신설 및 인력 증원이 최종 확정되는 결실을 맺었다.
시는 센터 운영 예산에 대한 국회심의와 의결을 통해 개소를 진행할 계획이다.
손철웅 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대전은 영상제작 인프라 구축 등에 따른 창작 환경조성으로 콘텐츠 산업관련 금융수요 증가가 예상된다”며 “금융지원이 필요한 지역의 콘텐츠기업이 서울이나 경기센터를 가지 않고 원스톱 금융지원 서비스를 편리하게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그러면서 “중부권(대전, 충청, 호남) 콘텐츠기업들이 문체부 출연금 및 기술보증기금 재원으로 매년 200억 원 이상 보증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를 통해 지역 내 가능성 있는 우수 콘텐츠 기업들의 지속적인 성장 기반 마련과 수도권ㆍ비수도권 문화콘텐츠산업 양극화 해소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재 기술보증기금의 문화콘텐츠금융센터는 전국에 서울(‘16.1월), 경기(‘17.7월), 부산(‘18.1월) 등 3개 센터가 설치돼 운영 중이다. 이 곳에선 문화콘텐츠 제작 기업에 콘텐츠 기업 평가, 보증서 발급, 저금리 자금지원, 사후관리 등 토탈 서비스 및 기반구축 사업 등 기업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