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 유지․보수 등의 계획’ 토대로 전문 인력과 예산 확보를 통한 하천 환경정비 역설
세종시의회 채평석 의원(연동‧부강‧금남면)은 3일 열린 제64회 임시회 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근원적인 홍수 피해 예방과 쾌적한 수변공간 활용을 위해서는 "하천 유해수목 정비사업 추진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채 의원은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올해 기록적인 폭우로 인한 하천 범람과 침수 피해의 원인 중 하나로 하천변 유해수목을 꼽고 있다”면서 “정리되지 않은 유해수목들이 유수에 지장을 줘 하천 수위를 높이는 댐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현재 세종시에는 국가하천인 금강과 곡교천, 미호천이 흐르고 있어 국토부로부터 매년 약 10억원씩 지원받아 이중 주로 유동인구가 많은 친수공간을 선정해 아카시아 나무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하천 유해수목을 정비하는 데 약 7천만원을 집행하고 있다"고 제시했다.
이에 “최소한의 예산으로 소극적인 정비가 이뤄졌으며, 반복되는 현안에 적극 대처하는 자세가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채 의원은 "하천범람을 사전에 방지하고 안전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 ▲‘하천 유해수목 정비계획 수립’으로 체계적인 사업 추진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한 예산 확보와 담당인력 전문성 제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현재처럼 예산액 중 주요시설 정비 후 남은 잔액으로 유해수목 정비를 실시할 것이 아니라, 앞서 언급한 ‘하천 유지․보수 등의 계획’을 토대로 유해수목 정비에 필요한 만큼 예산이 확보되어야 한다”고 거듭 당부했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