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방울 속 살균기능 ‘OH 래디컬’ 인체 무해한 천연물질
나노 물방울을 이용, 공기 중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잡아내는 기술이 국내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4일 기계공학과 이승섭 교수 및 정지훈 박사팀이 코로나19 살균 기능을 가진 초미세 물방울의 대량 생성이 가능한 ‘정전분무’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교수팀의 정전분무 기술로 만들어진 물방울엔 OH 래디컬이 함유돼 있다.
OH 래디컬은 불안정한 화학구조로 반응성이 매우 높고 강력한 산화력 때문에 세균과 바이러스 살균 기능을 보유하고 있지만 인체에는 전혀 해를 끼치지 않는 천연물질이다.
연구팀은 세계 최초로 멤스(MEMS) 기술로 제작된 폴리머 재질의 초미세 노즐을 이용해 정전분무하는 방식으로 인가전압이 낮아 오존 발생 없이 안정적으로 구현된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 초미세 노즐어레이를 이용, 외부환경과는 무관하게 물방울을 대량 생성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팀은 현재 초미세 물방울의 양산이 가능한 `폴리머 초미세 노즐 정전분무' 기술을 기반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 살균용 공기정화기를 개발 중이다.
연구팀은 순수한 물을 이용한 살균 방법으로 인체에 해가 없고 친환경이라는 장점 때문에 향후 코로나19 방역에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폴리머(Polymer)'에 소개된 바 있으며 지난 8월부터 KAIST 코로나 뉴딜사업의 지원을 받아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