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 생물학적 나노플라스틱화 규명
미세플라스틱 생물학적 나노플라스틱화 규명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0.10.19 16: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세플라스틱 생물학적 나노플라스틱화 규명

토양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진 지렁이가 미세플라스틱으로 오염된 토양에선 이를 섭취해 더 작은 나노플라스틱으로 만들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지렁이에 의해 작게 쪼개진 나노플라스틱 배출 규명 모식도.
지렁이에 의해 작게 쪼개진 나노플라스틱 배출 규명 모식도.

한국연구재단은 건국대 안윤주 교수 연구팀이 지렁이 섭취호라동에 의해 토양 내 미세플라스틱이 쪼개져 나노플라스틱이 발생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5㎜ 미만의 미세플라스틱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워 우려를 모으고 있다.

특히 이보다 더 작은 크기인 100㎚미만의 나노플라스틱은 환경에 얼마나 존재하며, 어떻게 발생하는지 관찰하기가 더욱 어렵다.

연구팀은 토양에 서식하는 대표적 생물종인 지렁이를 이용해 토양환경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눈에 보이지 않는 크기까지 작아져 분변토를 통해 재배출될 수 있음을 시각적으로 규명했다.

미세플라스틱으로 오염된 토양샘플에서 3주간 배양한 지렁이의 분변토에서 얻은 입자성 물질들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미세플라스틱 보다 작은 입자성 물질이 존재하는 것을 알아냈다.

나아가 X선 분광분석을 통해 입자성 물질의 성분을 분석, 토양 입자와 명확하게 구분되는 나노플라스틱의 존재를 검증했다.

토양섭취활동에 의해 지렁이의 장 내에 미세플라스틱 보다 더 작은 파편화된 나노플라스틱이 생성되었다는 것.

연구팀은 나노플라스틱의 토양생태 독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 및 분석기술이 부족한 실정에서 나노플라스틱의 토양 분포 및 토양 생물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한편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지렁이는 정상적 정자형성이 저해돼 번식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을 알아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