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원 규명을 통해 미세먼지 비상 저감조치의 효용성 증명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중국과학원과 공동연구를 통해 중국발 미세먼지의 국내 유입 근거를 증명했다.
KIST 환경복지연구센터 김화진 박사팀은 고해상 실시간 측정분석기를 이용해 미세먼지 구성성분을 측정, 지난해 3월 고농도 미세먼지가 장거리 이동의 영향이었음을 밝혔다.
특히 중국과학원 연구진과 공동으로 측정·비교해 중국 오염물질이 국내 유입된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함으로써 국제 정책 수립 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2개월에 걸쳐 3분 단위로 서울 시내 대기 중 미세먼지의 화학적 구성성분을 측정하고 어떤 오염원이 주로 미세먼지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해당 기간 동안 유기 성분, 질산염, 황산염 등이 중국에서 이동해 오는 오염물질임을 밝혀냈다. 또 장거리 이동오염 물질인 납이 이동해 오는 것 역시 확인했다.
이밖에 연구팀은 오염원 분석을 통해 국내 자동차 2부제 시행의 효과가 있음도 확인했다.
연구팀이 분석을 수행한 지난해 3월은 비상저감조치 등이 시행된 바 있는데, 당시 고농도 미세먼지 원인은 장거리 이동에 의한 사례로 이 조치가 전체적인 농도 감소에 절대적 영향을 주진 못했지만, 자동차에 기인한 농도 감소에는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화진 박사는 “이번 한-중 공동연구를 통해 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 영향을 밝히는 한편, 이와 동시에 어떤 오염물질이 이동해 올 수 있는지를 밝힐 수 있었다”며 “고농도 미세먼지 정책 수립에 참고가 될 수 있겠으나 고농도 미세먼지 현상이 항상 장거리 이동에 의해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므로 좀 더 다양한 케이스의 원인에 대한 실시간 측정을 통한 원인 분석 및 메커니즘 규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미세먼지는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닌 동아시아 전체의 문제이므로 국제적인 협력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