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 ‘나노 두께’ 2차원 유무기 자성체 합성 성공...세계 최초
원자력연, ‘나노 두께’ 2차원 유무기 자성체 합성 성공...세계 최초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0.12.08 13: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노분야 세계적 학술지 스몰(Small) 표지 논문 선정
원자력연구원이 2차원 유무기 할로겐 페로브스카이트 결정체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원자력연구원이 2차원 유무기 할로겐 페로브스카이트 결정체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자성을 띄는 새로운 종류의 2차원 물질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견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유무기 할로겐 페로브스카이트로부터 수원자층 두께의 2차원 자성체를 만들어내는 방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2차원 물질은 단원자 두께를 갖는 물질로, 흑연으로부터 원자 한 층을 박리한 그래핀이 대표적이다.

얇고 열과 전기를 잘 전달하는 그래핀이 꿈의 소재로 불리는 것처럼 자성(magnetism)을 지닌 2차원 페로브스카이트 결정체 역시 다양한 부분에서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연구원 김기연 박사를 중심으로 오인환·박가람 박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유천열 교수, 김준서 박사 연구팀이 공동으로 연구한 결과다.

연구원은 자성을 띄는 전이금속이 포함된 무기물 층과 페닐에틸암모늄 유기물 층이 겹겹이 쌓인 2차원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 결정체를 만들었다.

이 결정체를 특수하게 조합한 유기 용매에 녹여 결정체의 결합을 끊어낸 후, 실리콘 기판에 떨어뜨리고 고속으로 회전시켜 스스로 구조를 형성하는 자기 조립(self-assembly) 방식으로 원자 7~10겹의 초박막을 만들어냈다. 이 방법은 자성을 갖고 있는 10~20나노미터 두께의 초박막을 비교적 균일하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차원 자성체는 첨단 신소재로 스핀트로닉스 분야와 같이 자성을 사용하는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김기연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를 시작으로 원자 한 개 층의 자성체를 만드는데 도전할 것”이라며 “고효율, 고집적, 초경량 스핀트로닉스 분야에 사용할 새로운 물질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심도있는 후속 연구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과학 분야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인 스몰(Small, 영향력 지수 11.459)에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