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 8년차 3개 연구단에 S등급 부여
IBS, 8년차 3개 연구단에 S등급 부여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0.12.18 15: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초 출범 8년차 8개 연구단, 해외석학 중심 과학적 우수성 정성평가

기초과학연구원이 연구원 내 8년차 연구단인 RNA, 시냅스 뇌질환, 나노입자 연구단에 세계 최고 수준인 S등급을 부여했다.

IBS는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한 기초과학의 특성을 고려해, 연구단 착수 5년 후 첫 평가를 하며 이후 3년 단위로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2012년 최초 출범한 8개(인지및사회성, 시냅스뇌질환, 기하학수리물리, 나노물질및화학반응, 나노입자, 복잡계, RNA, 강상관계물질) 연구단은 2017년 처음 5년차 성과평가를 했고, 올해 5월~11월 두 번째 8년차 성과평가를 실시했다.

과학적 우수성이 최고 등급(S)으로 평가된 3개 연구단과 IBS의 철학에 비춰 유지 필요성이 인정되는 연구단은 지속 지원할 예정이며, 일부 연구단은 2년의 정리 기간을 거쳐 종료할 예정이다.

연구단별 특성에 맞게 평가단이 자율적으로 평가했으나, 수월성 검증을 위해 과학적 우수성에 대해서만 4단계 등급(S, A, B, C)을 부여했다.

RNA 연구단(김빛내리 단장),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김은준 단장), 나노입자 연구단(현택환 단장)의 3개 연구단은 해당 연구영역을 포함하는 포괄적 연구영역에서 세계 선도 수준으로 평가되어 최고 등급 S를 받았다.

나머지 5개 연구단도 해당 연구영역에서 세계적인 리더로 인정받아 차상위 등급인 A로 평가됐다.

IBS는 올해 초부터 해외 석학을 중심으로 연구단별 평가단을 구성하여 5월부터 서면·현장방문 평가를 실시했으며 연구단선정‧평가위원회(SEC) 종합평가와 과학자문위원회(SAB) 자문 및 이사회 보고 후 평가결과를 확정했다.

특히 IBS는 연구단별 평가단 외에 여러 연구단의 평가에 참여하는 공통참관위원(Rapporteur)을 도입해 공정성과 객관성을 높였다.

평가단에는 필즈상 수상자인 에핌 젤마노프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UCSD) 교수와 마키 가와이 일본 분자과학연구소장 등 11개국 세계석학 34명과 국내 전문가 30명 등 총 64명이 참여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연구단별로 4일 간 화상회의를 병행한 현장방문 평가에서는 논문 등 정량적 성과가 아닌 연구의 창의성과 영향력 등을 정성적으로 평가하고 팀리더, 박사후연구원, 대학원생 등 구성원들을 심층 인터뷰했다.

평가결과 연구단의 과학적 수월성은 세계적 수준이며, 특히 RNA 연구단과 나노입자 연구단은 세계 최고 연구집단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RNA 연구단은 평가단 만장일치로 RNA분야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단장의 탁월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기술력을 겸비하여 연구의 일관성이 돋보인다는 의견이다.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김은준 단장)은 신경과학의 넓은 범위에서 기초연구 역량이 매우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독창적인 연구로 신경·정신질환 이해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는 의견이다.

나노입자 연구단(현택환 단장)은 연구그룹 간 협력을 통한 우수한 집단연구로 나노입자 연구와 응용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창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기하학 수리물리 연구단(오용근 단장)은 사교위상 분야에서 세계적인 성과를 창출하여 수학계의 지평을 넓히고, 세계 수준의 수학센터로 발돋움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 평가단은 연구단장과 부연구단장 뿐 아니라 연구인력(포닥)과 학생 등 대부분 인력이 매우 우수하며, 연구단이 우수한 인재를 육성‧배출하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일부 연구단은 연구단장의 정년퇴직에 대비하는 계획과 비전이 부족하다는 지적, 그룹 간 협업을 통해 집단연구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평가를 총괄한 울프강 한스 스피스 SEC 위원장(막스플랑크 고분자 연구소 명예소장)은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운 여건에서 연구단 8년차 평가가 성공적으로 진행됐다”며 “명확한 비전과 전략을 수립·실천하여 IBS가 추구하는 과학적 수월성 중심의 집단연구에 매진해야한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IBS는 이번 평가 결과와 과학자문위원회(SAB) 권고에 따라, 연구단 지속 운영 또는 종료, 후임 연구단장 선발, 연구내용 조정, 연구그룹 간 협력 강화, 핵심 연구인력(PI) 확대, 우수한 젊은 포닥 육성 등 연구단 운영에 반영해 나갈 계획이다.

평가 결과 A등급을 받은 5개 연구단 중 2개 연구단은 2년의 정리 연구 기간을 거쳐 종료하고, 1개 연구단은 일부 그룹 종료, 1개 연구단은 후임 단장을 선발할 예정이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