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대지구 첨단센서소자 제조・신뢰성지원 플랫폼 구축 탄력
대전시가 첨단센서 허브를 향한 첫 발을 내딛었다.
시와 산업통상자원부, 경상남도가 공동 추진하는 ‘시장선도 한국주도형 K-sensor 기술개발 사업’이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에 선정된 것.
시장선도 한국주도형 K-sensor 기술개발 사업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봇기술, 자율주행차 등이 주도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조 단위의 첨단센서가 필수인 디지털 뉴딜을 준비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한다.
사업비는 총 5340억원(국비4160억, 지방비760억, 민자420억) 규모이다.
내년 1월부터 7개월 동안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과학기술적・정책적 타당성을 분석하고, 쟁점 조사 및 전문가 의견청취 등을 통해 예타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예타 조사를 통과하게 되면 2022년부터 사업을 시작하게 된다.
시는 첨단센서산업 육성을 위해 장대 도시첨단산업단지에 약 1400억원 규모로 조성하는 ‘첨단센서소자 제조・신뢰성지원 플랫폼 구축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지난 1년 동안 대전테크노파크, 나노종합기술원, KAIST,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등 지역혁신기관들과 공동으로 기획해왔다.
또 ‘다품종·맞춤형 첨단센서소자 제조 플랫폼 구축을 통한 국가 첨단센서산업 육성 및 경쟁력 강화 기반 조성’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다.
2022년부터 2028년까지 7년간 총 1400억원을 투자하여 센서소자 제조·신뢰성 지원센터 및 스마트랩 구축, 빅데이터기반 센서 개발, 평가 기술 및 다품종·맞춤형 스마트 제조 기술 차세대 센서 소재, 소자 제조지원 및 센서소자 신뢰성 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은“금번 예타조사 대상 사업 선정은 4차 산업혁명특별시 대전을 첨단나노융합 도시로 브랜드화하고 첨단센서 산업을 지역전략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첫 발을 내디뎠다는 데 큰 의미가 있어 매우 기쁘다”고 말햇다.
이어 “사업 예타 조사를 꼭 통과시켜 전국 최초로 첨단센서로 특화된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함께 기업들이 오고 싶어 하는 첨단센서산업 허브 도시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