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학연구원이 바이러스의 가짜 RNA 역할로 세포에 침투해 면역체계를 활성화시키는 새로운 백신 어쥬번트 화합물을 개발했다.
화학연은 25일 의약바이오연구본부 한수봉·김미현 박사팀이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백신 효능을 높이는 화합물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화합물을 동물 바이러스 백신에 적용하기 위해 ㈜중앙백신연구소에 기술이전 했다. 향후 상업화를 위한 공동연구를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
백신은 죽거나 분쇄한 바이러스 RNA 항원을 주사해 몸에서 면역반응을 일으켜 항체가 생성되는 원리로 작용한다.
살아있는 완전한 바이러스를 투입시키면 바이러스 RNA가 세포에 실제로 침투해 바이러스를 증식시킬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백신 기능을 높이기 위해, 바이러스 RNA로 인식될 수 있는 가짜 RNA 화합물을 개발했다.
이 화합물을 백신에 섞어서 몸에 투입하면, 세포의 톨라이크 수용체가 실제 바이러스 RNA로 착각하고 몸의 면역체계를 가동해 인터페론과 싸이토카인 등 선천·후천 면역 물질을 분비시켜 항체를 더 잘 만들도록 돕는다
바이러스 RNA는 실제로 고분자 화합물이다. 고분자 화합물은 분자량이 큰 화합물을 이르는 말로, 생산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며 안정성이 떨어진다.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저분자 화합물로 바이러스 RNA를 대체할 수 있는 화합물을 개발하여 쉽고 저렴하게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했다.
연구팀은 백신에 화합물을 섞어 주사하면 세포가 이 화합물을 마치 진짜 바이러스 RNA처럼 인식해 인터페론과 싸이토카인의 면역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했다. 또 생쥐 실험에서 인플루엔자와 구제역 백신의 높은 면역 효과를 확인했다.
한수봉 박사는 “이번 기술이전 및 공동연구를 통해 우선적으로 조류인플루엔자, 구제역, 아프리카돼지열병 등 동물 바이러스의 백신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할 것”이라며 “궁극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을 포함한 다양한 인체 백신으로 사용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