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주)이노테라피 산학협력 결실...유럽허가(CE 인증) 취득으로 글로벌 상용화 기대
혈우병 등 혈액 응고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국내 연구진이 홍합을 모사한 지혈제 효과를 입증하면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화학과 이해신 교수 연구팀이 홍합 모사 접착성 지혈제를 이용해 혈액 응고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지혈을 성공시켰다고 16일 밝혔다.
앞서 이해신 교수는 전 세계 최초로 홍합 모사 접착물질을 의료용 지혈물질로 상용화시킨 바 있다.
연구팀은 홍합이 가진 섬유다발(족사) 내 존재하는 카테콜아민 고분자가 혈액 내 알부민과 같은 혈장단백질과 빠르고 강하게 결합해 접착막을 형성한다는 것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혈액 응고 장애를 동반한 출혈 동물모델에서 우수한 지혈 효과를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간이식·간 절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에서도 우수한 효과를 입증했다.
이해신 교수는 "바이오 벤처 기업 이노테라피와의 모범적 산·학 협력모델을 구축했다“며 ”유럽허가(CE 인증)를 취득해 차우 제품 글로벌 상용화도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