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특구, 지역균형뉴딜 혁신거점 ‘도약’
연구개발특구, 지역균형뉴딜 혁신거점 ‘도약’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1.04.28 15: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5년 특구 최초 지정 후 16년 만에 입주기업·코스닥 상장기업 9배 증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연구개발특구가 지역균형뉴딜 혁신거점으로 새롭게 도약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과기부와 특구재단에 따르면 지난 2005년 대덕 연구개발특구 최초 지정 후 16년 만에 입주기업 수 9.8배, 코스닥 상장기업 수 9배, 매출액은 21배 증가하는 등 혁신성장을 이루고 있다.

연구개발특구는 출연연(52개), 연구기관(44개), 교육기관(34개), 기타공공기관(74개), 비영리기관(49개), 기업(6,782개) 등이 입주(19년 기준)해, 수도권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 혁신주체들이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혁신거점이다.

그간 연구개발특구의 변화상을 살펴보면 2005년 특구 지정 후 2019년 기준으로 기업 수는 9.8배(05년 687개→19년 6782개), 매출액은 21배(05년 2.5조→19년 54.6조), 코스닥 상장기업 수는 9배(05년 11개→19년 99개)로 증가하는 등 연구개발특구의 혁신성장을 데이터가 보여주고 있다.

또 연구개발특구의 사업체(6782개)는 전국 사업체(417만 6549개)의 0.1%를 차지하지만, 매출액은 8배, 종사자 수는 10배 높은 비중을 차지해 일반 제조기업이나 전국 중소기업보다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특구 제조업의 평균 고용인원은 51.7명으로 전국 39명 대비 1.3배 높아, 일반 제조기업보다 기업 당 12.6명을 더 많이 고용하고 있다.

특히 특구 내 중소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전국 중소기업의 1.5배, 평균 종사자 수는 1.7배, 평균 연구개발비는 1.2배로 높아, 연구개발특구가 중소기업과 함께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연구개발특구는 전국 연구개발비의 12.5%(정부재원 기준 연구개발비의 34.5%)가 투자되는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거점으로써, 풍부한 연구인력과 우수한 연구성과를 보이고 있다.

연구개발특구에는 5만 2390명의 박사급 연구원이 존재하며, 이는 전국 박사급 연구원 10만 5672명의 46.8%에 해당한다.

공공기술이전 건수 및 공공기술이전료는 연구개발특구가 전국 대비 약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공공기술을 활용한 사업화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과기정통부는 연구개발특구 내 연구소기업 설립 및 성장 지원, 첨단기술기업의 지정, 엑설러레이팅 등을 통해 기업의 창업과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그 결과 2019년 기준 특구 코스닥 상장기업 99개 중 29개 기업(29.2%)이 연구소기업 혹은 첨단기술기업 제도를 기반으로 성장했다.

또 2006년에서 2018년까지 매출액이 10배 이상 성장한 대덕 연구개발특구의 고성장기업을 분석한 결과, 28개 기업 중 15개(54%) 기업이 특구육성사업화지원(R&BD)이나 첨단기술기업의 지정 등 연구개발특구육성 사업 및 제도를 통해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기영 장관은 “연구개발특구는 한국판 뉴딜과 지역균형뉴딜의 성공을 위해 필수적인 지역혁신공간”이라며 해외 70여개 국가에 ‘한국형 과학기술기반 혁신클러스터’로 전파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우수사례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적극적인 연구개발특구 육성으로 국가 혁신과 지역발전에 앞장서겠다”고 덧붙였다.

특구육성성과 인포그래픽
특구육성성과 인포그래픽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