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생명연, 치매 원인물질 분해 신규 메커니즘 규명
KIST-생명연, 치매 원인물질 분해 신규 메커니즘 규명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1.06.27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치매를 일으키는 타우단백질이 UBE4B와 STUB1 분자의 작용에 의해 자가포식체를 경유하여 분해되는 과정
치매를 일으키는 타우단백질이 UBE4B와 STUB1 분자의 작용에 의해 자가포식체를 경유하여 분해되는 과정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함께 치매의유력한 발생인자로 지목되고 있는 ‘타우단백질’을 자가포식으로 분해하는 원리를 발견했다고 27일 밝혔다.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단백질 분해효소인 프로테아좀을 이용해 타우단백질 제거를 유도하고 있지만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KIST 뇌과학연구소 류훈 박사팀과 생명연 질환표적구조연구센터 유권 박사팀, 이화여대 송은주 교수팀으로 구성된 공동연구진은 치매 초파리와 마우스 모델 실험해서 mRNA 유전자를 조작해 UBE4B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면 타우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이 감소하며 치매 실험동물의 행동이 향상되는 현상을 확인했다.

기존에 알려져 있던 프로테아좀보다 자가포식 작용이 타우단백질 제거에 더 효과적이었으며 자가포식을 유도하는 UBE4B를 타깃으로 치매 진단과 치료제 개발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판단했다.

연구진은 새로운 타우단백질 분해 조절 인자에 대해 특허 출원을 진행 중이다.

KIST 류훈 박사는 “타우단백질 분자가 자가포식작용(오토파지)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을 규명해 치매 병리현상 예방과 개선의 새로운 길을 확인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KRIBB 유권 박사는 “초파리 치매 모델에서 발견한 새로운 타우단백질 분해 기전이 마우스 치매 모델에서도 확인된 연구로 새로운 치매 대응 전략을 제시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