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차세대 음극소재 상용화 ‘성큼’...음극 용량 2.6배 늘려
KIST, 차세대 음극소재 상용화 ‘성큼’...음극 용량 2.6배 늘려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1.07.15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IST 청정신기술연구본부 연구팀. 왼쪽 위부터 최진관 학생연구원, 홍지현 선임연구원, 정향수 선임연구원, 이민아 선임연구원.
KIST 청정신기술연구본부 연구팀. 왼쪽 위부터 최진관 학생연구원, 홍지현 선임연구원, 정향수 선임연구원, 이민아 선임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이민아·홍지현·정향수 박사 공동연구팀이 리튬 배터리 흑연-실리콘 복합음극 제작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전처리 용액을 개발해 기존 대비 2.6배 이상 음극 용량을 갖는 음극소재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상용화된 리튬 배터리는 대부분 음극 소재로 흑연을 사용하고 있는데, 실리콘은 흑연보다 에너지 저장능력이 5~10배 높아 차세대 음극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실리콘은 흑연에 비해 3배가량 많은 양의 리튬을 소모하기 때문에 흑연을 완전히 대체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흑연과 실리콘을 혼합한 흑연-실리콘 복합전극이 실질적인 차세대 음극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앞서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박사팀은 전극을 특수한 용액에 담갔다 빼는 공정을 개발해 실리콘 전극의 초기 리튬 소모를 차단한 바 있다. 공동연구진은 해당 공정을 상용화 가능성이 큰 흑연-실리콘 혼합소재에 적용하고자 했다.

연구팀은 용액 내 분자들의 상호작용의 세기를 조절, 새로운 조성의 용액을 개발해 실리콘과 흑연이 혼합된 전극에서도 안정적으로 손실될 리튬을 공급할 수 있게 됐다.

개발된 전극은 첫 충전 시 100%에 가까운 높은 초기효율을 보였으며 기존 대비 약 2.6배 높은 음극 용량을 가지며, 250회 충·방전하는 내구성 시험 후에도 87.3%의 용량이 유지되는 우수한 수명 특성을 보였다.

KIST 이민아 박사는 “향후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홍지현 박사는 “KIST 내부 연구원들의 활발한 협력 연구를 장려하는 분위기가 있었기에 우수한 성과를 얻는 것이 가능했다”며 “안전하고 대량 양산에 적합한 기술로 실제 산업화도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