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코로나19 등 RNA 바이러스 초고감도 검출 기술 개발
KAIST, 코로나19 등 RNA 바이러스 초고감도 검출 기술 개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1.07.15 1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로운 등온 핵산 증폭 기술
그림 1. RNA 바이러스 초고감도 검출 기술 연구 모식도
RNA 바이러스 초고감도 검출 기술 연구 모식도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박현규 교수 연구팀이 코로나19 등 RNA 바이러스의 표적 RNA를 초고감도로 검출하는 핵산 증폭 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현재 코로나19 등 RNA 바이러스를 검출하기 위한 표준 진단 방법은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이다.

이 방법은 정확도는 우수하지만 정교한 온도 조절 장치가 필요하고 소요 시간이 길어 장비 소형화에 제약이 있어 전문 설비가 갖춰진 대형 병원 또는 전문 임상검사실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연구팀은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핵산의 절단 및 중합 연쇄반응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초고감도의 신개념 등온 핵산 증폭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별도의 온도 변환 과정 없이 동일 온도에서 표적 바이러스의 RNA를 초고감도로 20분 이내로 매우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증폭 기술에 절단효소 인식 염기서열이 수식된 프라이머를 도입함으로써, 절단효소 및 DNA 중합효소 활성을 기반으로 이중가닥 DNA를 지수함수적으로 증폭할 수 있었고, 최종적으로 표적 RNA를 기존의 NASBA 기술에 비해 100배 이상 향상된 민감도로 검출할 수 있었다.

박현규 교수는 "이번 신개념 등온 핵산 증폭 기술은 현재 대유행하고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같은 RNA 바이러스들을 신속하게 조기 진단 할 수 있는 분자진단 시스템에 활용될 가능성이 매우 큰 기술ˮ이라며 “현재 코로나19의 임상 샘플 테스트에서도 매우 좋은 결과를 얻었다”고 설명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