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 ‘접힘·적층 없다’ 무결점 그래핀 완성...세계 최초
IBS, ‘접힘·적층 없다’ 무결점 그래핀 완성...세계 최초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1.08.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존 그래핀 대비 전기적 물성 약 3배 우수…Nature지 논문 게재
무결점 그래핀을 제조하기 위한 실험 장비
무결점 그래핀을 제조하기 위한 실험 장비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장 로드니 루오프 연구팀이 접힘과 적층이 없는 완벽한 단결정 그래핀을 대면적으로 제작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무결점 그래핀을 활용하면 소재 위치나 방향과 무관하게 항상 같은 효율을 내는 고성능 집적 회로를 만드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다른 2차원 재료와 함께 적층해 사용한다면 지금까지 개발되지 않았던 놀라운 성능을 보이는 소자를 개발할 수 있어 전자·광자·기계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우수한 성능의 그래핀을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는 평가다.

그래핀은 탄소 원자들이 벌집처럼 육각형으로 나열된 2차원 물질로 얇고 투명하며 신축성도 뛰어나지만 강철보다 200배 이상 강하고,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자의 이동성이 빠르며, 다이아몬드와 유사하게 열전도성이 높아 탁월한 물성으로 주목받아 왔다.

하지만 부분적으로 여러 층의 그래핀이 겹쳐진 ‘적층 구역’이나 주름진 ‘접힘 부분’이 존재했고 그러한 적층이나 접힘은 그래핀의 기계적‧전기적 물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됐다.

앞서 연구진은 지난 2019년 적층 없는 그래핀 제작까지는 성공했지만, 접힘 문제까지는 해결하지 못했다.

무결점 그래핀의 모습
무결점 그래핀의 모습

이번 연구에서는 그래핀의 성장 후 냉각 과정에서 접힘이 발생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접힘이 일어나는 온도를 조사했고 그 결과 ‘무결점 그래핀’ 제작에 성공했다.

통상 그래핀은 1320K(1046.85℃) 이상의 고온에서 합성된 후 실온까지 냉각하는데, 1030K(756.85℃) 이상의 온도에서 접힘이 형성됨을 발견했다.

이에 접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1030K(756.85℃) 이하의 저온에서 그래핀을 성장시켜본 결과, 냉각과정을 거쳐도 접힘 및 적층이 없는 완벽한 ‘무결점 그래핀’을 합성할 수 있었다.

무결점 그래핀의 전하 이동도는 6~8000㎠/Vs로 실리콘에 비해 7배, 기존 그래핀에 비해 약 3배 높았다.

왼쪽부터 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로드니 루오프 연구단장, 다 루오 연구위원, 메이훼이 왕 연구원
왼쪽부터 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로드니 루오프 연구단장, 다 루오 연구위원, 메이훼이 왕 연구원

연구진은 대량 생산의 가능성도 입증했다.

구리-니켈(Cu-Ni(111)) 호일을 기판으로 사용해, 4×7㎠ 크기의 무결점 그래핀 5장을 동시에 제조하는 데도 성공했다.

로드니 루오프 단장은 “우리 연구진은 최적의 그래핀을 합성하기 위한 기판의 개발, 그래핀의 적층과 접힘을 없애기 위한 연구 등 ‘무결점 그래핀’ 개발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해왔다”며 “7년의 장기연구가 결실을 맺은 것으로, 향후 무결점 그래핀의 독특한 물성을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게재됐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