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거점국립대학 중 통합 안한 대학 충청권 유일...경쟁력 하락 이어져
충남대 총학생회 설문조사...98.25%가 “통합 논의 자체 반대”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충남대학교와 한밭대학교 통합 논의가 고개를 든 가운데 학생 구성원들의 반대가 심해 의견수렴과정부터 난항에 빠졌다.
지역대학 경쟁력 하락과 학령인구 감소 등 지속적인 문제가 제기되는 가운데 대학간 통합이 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학생 구성원의 동의를 얻는 과정부터 난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25일 지역 교육계에 따르면 충남대는 23일 인문대학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실시했다. 지난 15일 공과대학 간담회에 이어 두 번째다.
이 자리에서 이진숙 총장은 “타지역 대학들이 통합됨에 따라 충남대가 규모적인 경쟁력에서 위상이 떨어졌고 거점국립대학의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게 됐다”고 밝혔다. 대학의 경쟁력 상승 및 규모 확장을 위해선 통합도 고려해야한다는 뜻이다.
현재 전국 거점국립대학 중 통합을 추진하지 않는 대학은 충청권이 유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충청권을 제외한 부산대-밀양대, 전남대-여수대, 강원대-삼척대, 경북대-상주대, 전북대-익산대, 제주대-제주교대, 경상대-경남과기대가 각각 통합됐다.
충남대와 한밭대 간 통합이 이뤄질 경우 학부 재학생 수는 국립대 중 가장 많은 2만 6459명 규모로, 전임교수도 1194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통합 논의 공식화를 위한 학생 구성원 설득엔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돼 본궤도에 오르기까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충남대 총학생회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통합에 반대하는 학생이 약 98%에 달하면서다.
지난 18~22일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인원 4734명 중 98.25%가 ‘통합의사가 논의되는 것 자체에 반대한다’고 답했다. ‘통합에 대한 장·단점 등 총장님의 설명을 듣고 판단한다’는 1.58%, ‘모르겠다’ 0.11%, ‘통합에 찬성한다’ 0.06%에 불과했다.
23일 비공개로 진행된 학생 자치기구로 구성된 중앙운영위원회와 대학본부간 간담회에서도 이같은 반대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충남대 학칙 제14조에 따라 총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에 대해 학교 운영에 관한 중요 사항을 종합 심의하는 학무회의를 열 수 있는 권한이 있어, 중앙운영위원회는 통합 논의 시작 자체에 대한 반대보단 ‘학생중심의 통합 논의 및 모델 구성’을 최우선으로 움직일 전망이다.
이들은 이를 위해 시위에 나서겠다고 밝힌 상태로 요구사항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논의 반대를 위한 본부 점거도 예고한 상태다.
한편 충남대는 다음달 2일 경상대학을 시작으로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예술대학 등 간담회 순회 일정을 계획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