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양자 측성에서 정보 보존 관계식을 최초로 유도하고 검증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양자정보연구단 홍성진·임향택·이승우 박사팀이 양자 기술이 원리적으로 안전하다는 사실을 약한 측정의 영역에서도 완벽하게 증명했다고 7일 밝혔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슈뢰딩거의 고양이’는 양자 물리학의 핵심 성질인 양자 중첩과 양자 측정을 설명하기 위해 고안된 사고 실험이다. 상자 안의 고양이는 살아있으면서 동시에 죽어있는 상태(양자 중첩)로 존재할 수 있고 상자를 열어보는(측정하는) 순간 고양이의 생사가 결정된다.
정보의 관점으로 ‘슈뢰딩거의 고양이’ 실험을 해석하면 우리는 고양이의 생사 정보를 얻기 위해서 상자를 열어보고(양자 측정), 이러한 행위는 본래 살아있으면서 동시에 죽어있던(양자 중첩) 고양이의 상태를 어느 한 쪽으로 변화시킨다.
즉 우리가 ‘고양이는 죽었다’는 정보를 얻는 순간 고양이는 죽어있고, ‘고양이는 살았다’는 정보를 얻는 순간 고양이는 살아있게 된다. 양자 측정의 비가역성 때문에 그 고양이의 생사는 다시 되돌릴 수 없다.
하지만 예를 들어 상자를 살짝만 열어서 고양이의 꼬리만 보는 등 측정을 완전하게 하지 못했다면 양자역학에서는 ‘약한 측정’이라고 부른다. 이런 경우 우리는 고양이의 생사에 대해서 완전한 정보를 얻을 수 없으며 측정의 ‘되돌림’을 통해 고양이의 운명을 원래대로 되돌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정보이득과 상태변화, 그리고 되돌림의 확률까지 모두 고려한 ‘양자 정보의 보존 관계’를 규명하는 일은 양자 물리학의 난제였으며 양자 기술의 안전성 보장을 위해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였다.
연구진은 기존에 알려진 ‘정보 이득’과 ‘상태 변화’의 관계식을 확장해 ‘되돌림’ 확률까지 고려한 정보 보존 관계식을 이론적으로 유도했다.
또 편광판과 편광자 등의 선형 광학소자를 이용해 ‘약한 측정’과 ‘되돌림 연산’을 구현하고 단일 광자로 구현된 3차원 양자 상태에 적용해 ‘정보 이득’, ‘상태 변화’, ‘되돌림’ 간의 정보 보존 관계를 실험적으로 검증했다.
그 결과 측정 세기의 증가로 양자 상태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얻는 행위가 양자 상태를 더 많이 변화(교란)시키고, 이로써 약한 측정 이전의 초기 양자 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확률이 낮아진다는 새로운 정보 보존 관계를 최초로 증명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양자 상태의 정보는 측정을 통해서도 총량이 늘어날 수 없다는 사실을 증명함으로써, 양자 기술이 원리적으로 안전하다는 것을 완벽하게 규명한 결과”라며 “양자컴퓨팅, 양자암호통신, 양자전송 등의 최적화 기술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