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연, ‘부정맥 효과적 치료’ 로봇 카테터 시스템 개발
기계연, ‘부정맥 효과적 치료’ 로봇 카테터 시스템 개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04.18 10: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체 내 장기 삽입 가능한 유연·굴곡 형태...국내 최초
로봇 카테터 시스템
로봇 카테터 시스템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기계연구원이 심장이나 폐, 방광 등 중재시술에 사용하는 로봇 카테터 시스템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이에 국내 부정맥 환자의 효과적 치료 및 관련 기술 경쟁력 강화에도 청신호가 켜질 것으로 보인다.

기계연은 대구융합기술연구센터 의료로봇연구실 김기영 선임연구원 연구진이 인체 장기에 삽입 가능한 유연 굴곡 형태의 로봇 카테터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카테터는 굴곡 가이딩(Guiding) 카테터다. 시술 등 치료를 위한 카테터가 장기 조직 손상 없이 깊이 삽입되기 위해 해당 위치까지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진은 로봇 카테터의 구조강성을 변화시켜 주는 ‘가변강성제어’ 기술로 장력 조절을 구현했다.

구동와이어의 한 가닥마다 하나씩 모터를 일대일로 연결해 동작이 되도록 개발해 구동와이어의 장력을 측정해 연결된 모터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로봇 카테터를 삽입할 때는 낮은 강성으로 부드럽게 삽입해 장기 조직이 다치지 않도록 보호하고, 시술 작업 시에는 높은 강성으로 로봇 카테터가 지지대 역할을 하므로 시술을 쉽게 할 수 있다.

개발한 로봇 카테터는 스프링을 사용한 기존 외산제품과 달리 부드러운 튜브 형태로 더 유연하여 조직 손상이 적다. 인체 주요 장기에 현재 활용하고 있는 수동 카테터의 재료와 열처리 방법을 동일하게 사용해 인체 사용에 대한 안전성도 동일하게 확보했다. 또 로봇 시스템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부정맥 진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의료진의 방사능 피폭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김기영 선임연구원은 “이번 성과는 방사능 피폭을 줄일 수 있는 로봇 카테터 시스템을 국산 기술로 개발한 성과로, 로봇 기술을 이용해 카테터의 조작을 간편하게 하고 강성을 제어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기업과 병원 등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 및 상용화를 위한 후속 연구를 통해 심장, 폐, 방광 질환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