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연, 고온서 감자 수확량 감소 원리 규명
생명연, 고온서 감자 수확량 감소 원리 규명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04.19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tSP6A 유전자의 발현량을 높인 감자 식물에서의 온도에 따른 수확량 비교
StSP6A 유전자의 발현량을 높인 감자 식물에서의 온도에 따른 수확량 비교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고온에서 감자 수확량이 감소하는 원리를 최초로 규명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시스템공학연구센터 이효준·김현순 박사팀은 감자 생육 시기별 유전자 분석을 통해 고온에서 감자가 재배될 때 괴경 형성을 억제하는 원리를 발견했다고 19일 밝혔다.

감자는 높은 온도에서는 수확량이 감소한다는 사실은 기존에도 잘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주로 온도가 비교적 낮은 고랭지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수확량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고온에서의 괴경 형성을 유도하는 특정 유전자(StSP6A) 기능 저하를 지목하고 있다.

감자의 재배 기간 동안 괴경 형성 유도 유전자가 점차 증가하며 괴경 형성을 유도하는데, 온도가 높아지면 이 유전자의 양이 증가하지 않아 괴경 형성이 억제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괴경 형성 유도 유전자와 수확량 간의 단편적인 연구 외에 생육 전반에 걸친 괴경의 형성과 발달에 관한 연구가 없어 생육 온도와 수확량에 관한 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었다.

연구팀은 감자의 온도가 높아지면 스스로 생육 전반에 걸쳐 괴경 형성 유도 유전자를 억제하여 수확량을 감소시키지만 생육 초기에는 괴경 형성 유도 유전자의 RNA를 조절해 괴경 형성을 억제하는 반면, 후기에는 유전자의 DNA를 조절한다는 것을 밝혔다.

또 생육 초기 괴경 형성 유도 유전자의 발현을 높이면 수확량을 회복할 수 있지만, 후기에는 유전자의 발현을 높이더라도 수확량에는 영향이 없다는 것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 같은 사실을 바탕으로 생육 초기와 후기에 괴경 형성 억제에 관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유전자들을 추가로 제시했다.

이효준 박사는 “고온 환경에서의 감자 수확량 감소는 생육 부진 등의 부작용이 아닌, 식물 스스로 환경 적응을 위해 괴경 형성을 억제했기 때문”이라며 “감자 수확량 감소의 원리를 활용한다면 향후 고온 환경에서도 수확량이 높은 감자 품종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