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에‘ESG경영’코너 신설 등을 통해 ESG 경영 내재화 박차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조폐공사가 협상에 의한 계약 입찰에 참여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ESG경영 우수기업을 우대하기로 했다.
조폐공사는 제안서 평가 시 ESG경영 지표를 신설하여 총 100점 만점 가운데 10점 범위 내에서 가감 조정하기로 했다. 이와 더불어 ESG경영에 대한 객관적인 시각을 제공하고 모니터링을 위해 ESG경영위원회를 운영하고 홈페이지에 ESG 경영 코너를 신설했다.
조폐공사는 ESG경영 내재화를 위해 ESG 비전 및 전략목표를 세우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16대 실천과제를 수립했다. 16대 실천과제 가운데 가장 주목을 끄는 부문은 조폐공사가 발주하는 각종 프로젝트 협상에 의한 계약 입찰에 참여하는 업체에 대한 조달부문 ESG 평가제도 도입이다. 조폐공사는 입찰 제안서 평가 시 ESG경영 평가지표를 10점 범위 내에서 가감 조정하도록 제도화했다.
조폐공사의 ESG경영 평가지표는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세 부문으로 나뉘는데 환경(E)은 △녹색기술 인증 △온실가스 감축 △친환경 제품 인증 등이며, 사회(S)는 △보건안전시스템 인증 △상생결제 수용 △4대 보험료 완납 등, 지배구조(G)는 결산감사 거부의견 등이다. 조폐공사의 이 같은 제도 개선은 입찰에 참가하는 업체들의 ESG경영을 유도하는 효과를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조폐공사는 ‘고유의 ESG경영 정착으로 신뢰받는 기업 실현’이라는 ESG비전을 설정하고 △가치사슬의 친환경체제 구축(Environment) △고유사업 기반으로 사회발전 기여(Social) △국민으로부터 존경받는 KOMSCO 실현(Governance) 등 3대 추진전략을 바탕으로 세부 16개 추진과제를 설정하고 운영해왔다.
E(환경) 대표적 과제는 화폐 제조과정에서 발생한 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 순환사업 추진이다. 조폐공사는 화폐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폐부산물을 중소기업 P사에 제공해 옹벽 보호제 및 콘크리트 보강재 등 산업자재로 재활용하고 있는데 올해는 재활용 대상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S(사회) 부문 과제로는 공익메달 사업이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일자리 창출 유공 대통령 표창을 수상한 바 있는 발달장애인 디자이너 일자리창출 연계 메달, 코로나19 백신 기부 연계 메달 등이 대표적인 공익 연계 메달 사업이다.
G(지배구조)의 추진과제는 비상임이사 전문성을 활용한 이사회 역할 강화다. 조폐공사는 ‘ESG경영위원회’를 구성해 공사가 추진하는 ESG경영에 대한 자문을 구하고 있다. 위원회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 전문 교수 등 외부 인사 3명에 공사 상임 및 비상임이사 3명 등 총 6명이다. 분기별 회의로 공사가 추진하는 ESG경영 추진현황 점검, 아이디어 제안 등 외부 전문가의 시각으로 공사의 ESG경영에 대한 자문과 성과관리, 관련 실적을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조폐공사는 임직원들의 ESG경영을 내재화시키기 위해 5월부터 이윤정 환경전문변호사의 ‘살아남고 싶다면, ESG하라’는 디지털 교육 과정을 개설했다. 이 교육과정은 △기술혁명의 시대에서 ESG 혁명의 시대로 △우리의 일상을 회복시킬 가장 강력한 희망의 수단 ESG △ESG 보다 쉽고 자세하고 실용성 있게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조폐공사는 이밖에 홈페이지를 최근 개편해 ‘ESG경영’ 코너를 만들어 ESG경영 성과 및 실적을 공시하고 있으며 사내 임직원 소통 과 교육, ESG 트렌드 공유를 위해 ‘ESG경영 게시판’을 운영하고 있다.
반장식 조폐공사 사장은 “임직원들에게 ESG경영을 내재화시키고 협력업체 등 이해관계자들에게까지 ESG경영을 확산 전파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공공부문에서 ESG를 선도하는 기관이 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