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연, ‘핵심광물 공급망 진단 및 대응’ 특별 포럼 개최
지질연, ‘핵심광물 공급망 진단 및 대응’ 특별 포럼 개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05.23 14: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핵심광물 공급망 진단 및 대응전략 특별포럼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이 한국자원공학회와 제118회 춘계학술발표회에서 ‘핵심광물 공급망 진단 및 대응전략’을 주제로 특별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특별 포럼은 친환경 에너지 전환 정책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국내외 핵심광물(Critical Minerals)의 공급망을 진단하고 대응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차세대 핵심광물 공급원에는 국내외 1차 자원 개발과 재자원화를 통한 2차 자원이 있지만, 현재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안정적인 공급망의 확보와 구축이 중요하다. 이날 특별세션에서는 핵심광물 공급망 구축을 위한 전략적 제언과 재자원화를 위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 해외 사례 등을 함께 논의했다.

지질연 조성준 광물자원연구본부장은 ‘핵심광물 공급망 구축 얼라이언스 현황과 역할’을 주제로 전략적 협력체계의 출범을 통해 정부, 기업, 연구기관이 핵심광물 팀코리아로 발전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소개했다. 특히 탐사기술을 기반으로 한 자원개발과 공급망 확보가 필수인 상황에서 얼라이언스의 역할론을 강조했다.

지질연 정경우 자원활용연구본부장은 ‘핵심광물 순환자원 생태계 구축 방안’ 발표를 통해 핵심광물의 확보와 탄소중립 실현에 동시에 기여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자원순환 기술을 강조했다.

그는 알루미늄 금속 1톤 생산 시 약 4톤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나 재활용 시에는 그 발생량이 약 1/8 수준으로 감소하는 사례를 소개하며 코발트, 텅스텐, 희토류 등 핵심광물과 폐제품의 자원순환율 향상 필요성을 제기했다.

또 △전통적 자원의 범주를 넘어선 중저품위 염수로부터 비증발 리튬추출기술 개발 △필(必)원전 시대의 우라늄 공급망 분석 및 수급 전망 △해외 핵심광물 개발 참여를 통한 국내 공급망 구축 사례 등 핵심광물의 확보와 공급망 확대를 위한 새로운 전략과 기술개발 현황과 대응 전략에 대해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다.

이평구 원장은 ”탄소중립의 실현을 위해 친환경 에너지 정책이 화두가 된 지금, 핵심광물의 공급망 확보는 국가 자원 안보는 물론 핵심산업의 생존과도 직결돼있다“며 ”국내외 핵심광물 탐사기술을 고도화하고 기술개발 연결고리를 통해 희소금속의 자급화와 공급망 확보와 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