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자석을 이용해 세슘을 제거하는 토양정화기술 상용화에 나선다.
원자력연은 ‘자성분리 기술을 이용한 방사성 오염 토양 정화 방법’을 아름다운환경건설㈜에 이전하는 기술 실시 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정액기술료 1억 원에 매출액 3.5%를 경상기술료로 받는 조건이다.
아름다운환경건설(주)은 1996년에 설립된 환경 정화 업체로 토양, 지하수 등 환경 관련 사업 노하우를 바탕으로 방사성 폐기물 처리 등 원전 해체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방사성 오염 토양에서 가장 흔한 세슘은 지름 0.002mm 이하 미세한 흙입자인 점토와 강하게 결합하는데, 점토는 표면이 음전하를 띠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원자력연 김일국 박사 연구팀은 이에 착안해 양전하를 띄는 나노입자를 개발해 세슘과 결합한 점토를 분리하는데 성공했다. 이 기술은 별도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자기력만을 이용해 오염 토양을 분리할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하다.
자성나노입자는 점토를 분리하고 남은 토양을 정화할 때도 유용하다. 기존의 금속-페로시아나이드(세슘 제거용 입자)에 자성나노입자를 결합하여 오염 토양을 세척할 수 있다. 이 두 과정을 거쳐 토양 속 세슘을 95% 이상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김일국 박사는 “자성나노입자 기술을 접목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기술로 향후 국내 원자력시설 해체 시 발생 가능한 방사성 오염 토양을 처리하는데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