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연, 세계 최고 수준 방사성 가스 제거 기술 개발
화학연, 세계 최고 수준 방사성 가스 제거 기술 개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05.26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화학연구원이 세계 최고 수준의 방사성 가스 제거 기술을 개발했다.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고 수준의 방사성 가스 제거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황영규·홍도영 박사 연구팀이 상용 탄소계 흡착제 대비 280배 높은 방사성 요오드 제거 성능 확보를 통해 방사성 요오드가 호흡기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주는 표면처리 기술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방사성 폐기물은 원자력발전소뿐만 아니라 병원, 산업체, 연구기관에서 방사성물질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생성된다.

생성된 방사성 폐기물은 반드시 200L 드럼 안에 포장하여 폐기물 처분장으로 보내는데, 이 과정에서 한 드럼 당 1500만원 상당의 처분 비용이 발생하며 2040년까지 약 39만 드럼이 추가적으로 발생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방사성 폐기물 관리 시스템 시장 규모는 2021년 기준 200억 달러로, 이 중 운반 및 처분 비용이 약 17.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때문에 방사성 폐기물의 부피를 줄여, 처분 비용을 최대한 낮추는 것이 원자력 관련 산업의 주요 관심사이다.

특히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기체 방사성 폐기물 중 방사성 요오드는 다량의 수분과 함께 극미량으로 배출되지만, 낮은 농도로도 인체에 축적돼 갑상선암 등을 유발한다. 또 최근 환경 규제가 크게 강화돼 더욱 높은 제거 성능을 보유한 흡착제가 요구되지만 ppb(미량 함유 물질 농도 단위) 수준의 극미량의 요오드 화합물을 높은 성능으로 포획하는 데에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기존의 흡착제는 낮은 담지량, 분산도, 소수성 등의 기능적 한계가 존재해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고 표면적·초 다공성 및 다양한 화학 개질 자리 보유를 특징으로 하는 MOF를 독성가스 제거용 소재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MOF(금속 전구체 및 유기 리간드 조합 다공성 소재) 또한 수분에 취약하고 외부에 습기가 많을 때 제거 성능이 급격히 감소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원자력발전소 필터 혹은 방독면 등에 사용 가능한 MOF 화학소재 표면을 특정 화합물로 처리해 메틸요오드화합물(CH3I)에 대하여 고습 환경에서도 매우 높은 제거율로 포획할 수 있는 화학소재를 개발했다.

극 저농도인 메틸요오드화합물(CH3I)을 고습 환경에서 포획하기 위해 MOF 흡착제에 물을 싫어하는 성질(소수성)을 부여해 수분의 접근을 차단했다. 방사성 요오드와 상호작용하는 귀금속인 ‘은’을 사용해 메틸요오드화합물을 0.01ppb 이하로 포획했으며, 은의 사용량을 기존 제올라이트 흡착제 대비 80%를 감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효율적인 재사용성을 확보했다.

이후 후속 연구에서는 비싼 ‘은’을 대신해 활성 물질인 아민류를 이용하여 메틸요오드화합물을 더욱 강하게 포획해 세계 최고 수준인 99.999% 이상의 제거 성능을 약 11일 동안 유지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기존 상용 활성탄 흡착제 대비 280배 높은 제거량을 기록한 성과다.

이와 동시에 산업적으로 제거가 까다롭다고 알려진 대표적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일종인 포름알데히드에 대해서도 고습 환경에서 기존 탄소계 흡착제 대비 5배 우수한 성능을 기록해 신규 극소수성 흡착제의 산업적 활용성이 뛰어남을 입증했다.

이미혜 원장은 “본 기술은 독성 가스로부터 취약한 산업인력의 안전을 도모하고, 방사성물질 유출에 대한 잠재적 위험으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지킬 수 있어 큰 의미가 있는 만큼, 향후 탄소 중립의 핵심 대안인 SMR 등 차세대 원전 기술의 보급망에 안전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