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형광 현미경 고질병 ‘이방성’ 해결
KAIST, 형광 현미경 고질병 ‘이방성’ 해결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06.29 1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규모 3차원 영상 고화질 복원
대규모 3차원 영상 고화질 복원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형광 현미경의 오랜 문제인 이방성(각도마다 다른 화질 차이)을 해결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김재철AI대학원 예종철 교수 연구팀이 서울대·포스텍과 형광 현미경 3차원 영상 화질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방성은 형광 현미경으로 3차원 영상을 획득하는 데 있어 빛의 성질로 인해 영상 공간 방향 간에 적게는 2~3배, 많게는 10배까지도 화질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를 뜻한다.

연구팀은 수학적 기법인 최적 수송이론 기반을 둔 새로운 인공지능 시스템을 개발해 공초점 현미경과 광 시트 현미경에 적용했다.

기존 인공지능 기법들과는 다르게,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가 따로 필요하지 않고 하나의 3차원 영상만으로도 인공지능 학습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획기적이라 볼 수 있으며 생물학 연구자들에게 생물 표본의 3차원 고화질 영상 획득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예종철 교수는 "3차원 영상 획득에 있어 극복하기 어려웠던 현미경의 물리적 한계를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뛰어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비지도 학습 기반으로 훈련이 진행되기 때문에 다양한 많은 종류의 3차원 영상 촬영 기법에도 확장 적용 가능하고 인공지능 연구의 새로운 응용을 개척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ˮ고 설명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