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청지역 일선 학교 교내 안전사고 발생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나 안전사고 대비를 위한 보건교사 배치는 75%정도에 그쳐 학교 두 곳 중 한곳은 보건교사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학기술부가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주광덕(한나라당, 경기 구리)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자료에 따르면 학교내 안전사고발생건수는 2010년 발생건수는 77,496건으로 2009년 69,487건에 비해 약 8천여건 이상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이는 2009년에 비해 11.5% 증가한 것으로 하루에 378건(1년 등교일 205일 기준) 안전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학교안전사고 발생비율을 분석하여 보면 특히 경기도 지역의 전체 발생 건수는 타 시·도에 비해 제일 높은 편으로, 2009년에 비해 2010년에 충북은 186건(약2.5%), 충남은 882건(약14.3%), 대전은 577건(약10.6%) 증가했다.
발생 장소와 부위별로는 휴식시간과 체육시간에, 운동장과 교실에서, 충돌·부딪히거나 미끄러져서 팔과 다리를 많이 다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09년 학교안전사고 발생 건수(상위 다발 지역순)
|
|
경기 |
서울 |
부산 |
충북 |
충남 |
대전 |
··· |
총계 |
||
|
1년간 발생 총 건수 |
14,096 |
10,683 |
7,180 |
7,293 |
6,152 |
5,423 |
|
69,487 |
||
|
주 요 발 생 유 형
분 석 별 |
시간별 |
체육시간 |
5,447 |
4,354 |
2,221 |
1,178 |
869 |
829 |
|
25,651 |
|
휴식시간 |
4,864 |
3,551 |
2,923 |
774 |
838 |
663 |
|
25,052 |
||
|
장소별 |
운동장 |
5,775 |
4,220 |
2,640 |
962 |
861 |
755 |
|
25,741 |
|
|
교실 |
2,228 |
1,690 |
1,456 |
360 |
333 |
319 |
|
11,313 |
||
|
형태별 |
충돌·부딪힘 |
5,911 |
4,412 |
2,884 |
1,089 |
826 |
803 |
|
28.128 |
|
|
미끄러짐 |
5,362 |
3,913 |
2,789 |
1,027 |
959 |
794 |
|
26,969 |
||
|
부위별 |
팔 |
4,389 |
3,159 |
2,318 |
975 |
678 |
655 |
|
22,007 |
|
|
다리 |
4,219 |
2,182 |
1,522 |
928 |
788 |
605 |
|
21,618 |
||
※ 2010년 학교안전사고 발생 건수(상위 다발 지역순)
(단위: 건)
|
|
경기 |
서울 |
부산 |
충북 |
충남 |
대전 |
··· |
총계 |
||
|
1년간 발생 총 건수 |
6,386 |
4,172 |
2,956 |
7,479 |
7,034 |
6,000 |
|
77,496 |
||
|
주 요 발 생 유 형
분 석 별 |
시간별 |
체육시간 |
5,338 |
4,259 |
2,110 |
1,118 |
786 |
715 |
|
24,461 |
|
휴식시간 |
6,739 |
4,798 |
2,744 |
803 |
1,052 |
814 |
|
29,013 |
||
|
장소별 |
운동장 |
2,960 |
2,028 |
1,516 |
981 |
874 |
793 |
|
27,834 |
|
|
교실 |
7,844 |
5,617 |
3,419 |
371 |
414 |
373 |
|
13,240 |
||
|
형태별 |
충돌·부딪힘 |
6,944 |
4,888 |
2,985 |
1,120 |
1,134 |
973 |
|
34,186 |
|
|
미끄러짐 |
5,313 |
3,547 |
2,462 |
1,170 |
1,118 |
948 |
|
32,131 |
||
|
부위별 |
팔 |
4,912 |
3,512 |
2,206 |
946 |
880 |
710 |
|
24,453 |
|
|
다리 |
4,219 |
2,182 |
1,522 |
970 |
776 |
674 |
|
23,236 |
||
이에 반해 전국의 보건교사 배치율은 2005년 64.7%에서 2011년 65.4%로 거의 변화가 없으며 일본, 미국 등 해외선진국의 경우 90%를 상회하는 것에 비하면 보건교사 충원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꼬집었다.
주 의원에 따르면 충북 지역은 공립학교 429개교 중에 249명의 보건교사를 배치하여 58%라는 낮은 배치율을 보였으나, 사립학교의 경우 48개교 중에 22명의 보건교사를 배치하여 그보다 낮은 45.8% 배치율을 보였다.
충남 지역의 경우 공립학교 659개교 중에 359명의 보건교사를 배치, 54.5% 배치율을 보였으나, 사립학교는 70개교 중에 23명의 보건교사를 배치하여 32.8%만이 배치, 이는 경남을 제외하고는 가장 낮은 비율이다.
대전 지역은 공립학교 243개교 중에 183명(75.3%)의 보건교사를 배치하였고, 사립학교의 경우 50개교 중에 13명(36.5%)의 보건교사를 배치하는 등 공립학교에 비해 사립학교의 보건교사 부족이 더욱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2011년 배치현황
(kedi, ‘11. 4. 1현재, 단위 : 명, %)
|
구분 |
국립 |
공립 |
사립 |
계 |
||||||||
|
학교수 |
보건 교사수 |
배치율 (%) |
학교수 |
보건 교사수 |
배치율 (%) |
학교수 |
보건 교사수 |
배치율 (%) |
학교수 |
보건 교사수 |
배치율 (%) |
|
|
전체 |
50 |
36 |
72.0 |
9,661 |
6,493 |
67.2 |
1,761 |
971 |
55.1 |
11,472 |
7,500 |
65.4 |
|
서울 |
10 |
7 |
70.0 |
933 |
919 |
98.5 |
368 |
329 |
89.4 |
1,311 |
1,255 |
95.7 |
|
부산 |
5 |
4 |
80.0 |
489 |
442 |
90.4 |
129 |
73 |
56.6 |
623 |
519 |
83.3 |
|
대구 |
4 |
3 |
75.0 |
342 |
278 |
81.3 |
93 |
71 |
76.3 |
439 |
352 |
80.2 |
|
인천 |
2 |
1 |
50.0 |
434 |
335 |
77.2 |
52 |
19 |
36.5 |
488 |
355 |
72.7 |
|
광주 |
3 |
3 |
100.0 |
228 |
186 |
81.6 |
73 |
33 |
45.2 |
304 |
222 |
73.0 |
|
대전 |
- |
- |
- |
243 |
183 |
75.3 |
50 |
13 |
26.0 |
293 |
196 |
66.9 |
|
울산 |
- |
- |
- |
216 |
139 |
64.4 |
19 |
10 |
52.6 |
235 |
149 |
63.4 |
|
경기 |
2 |
1 |
50.0 |
1,947 |
1,362 |
70.0 |
245 |
173 |
70.6 |
2,194 |
1,536 |
70.0 |
|
강원 |
2 |
2 |
100.0 |
597 |
293 |
49.1 |
41 |
20 |
48.8 |
640 |
315 |
49.2 |
|
충북 |
6 |
3 |
50.0 |
429 |
249 |
58.0 |
48 |
22 |
45.8 |
483 |
274 |
56.7 |
|
충남 |
3 |
2 |
66.7 |
659 |
359 |
54.5 |
70 |
23 |
32.8 |
732 |
384 |
52.4 |
|
전북 |
4 |
4 |
100.0 |
639 |
351 |
54.9 |
122 |
70 |
57.4 |
765 |
425 |
55.6 |
|
전남 |
1 |
1 |
100.0 |
746 |
368 |
49.3 |
91 |
43 |
47.3 |
838 |
412 |
49.2 |
|
경북 |
2 |
2 |
100.0 |
794 |
486 |
61.2 |
174 |
63 |
36.2 |
970 |
551 |
56.8 |
|
경남 |
3 |
1 |
33.3 |
800 |
468 |
58.5 |
157 |
21 |
13.4 |
960 |
490 |
51.0 |
|
제주 |
3 |
2 |
66.7 |
165 |
75 |
45.5 |
16 |
6 |
37.5 |
184 |
83 |
45.1 |
이에 주 의원은 “초등학교를 비롯하여 가장 안전해야할 학교에서 안전사고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만큼 우리 아이들이 다쳤을 때 응급처치를 할 수 있는 보건교사 확충은 꼭 필요하다.” 며 “매년 증가하는 교내 안전사고와 관련하여 정확한 통계를 바탕으로 제대로 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