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대 대전한방병원 동서암센터 조종관교수팀, 국제논문 발표
대전대 대전한방병원 동서암센터 조종관교수팀, 국제논문 발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2.08.22 15: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진세노사이드 Rg3의 암 전이재발 억제 효용성’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IF 6.208)에" 발표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암의 전이는 암세포가 정상 세포와 다른 가장 대표적 특징으로, 암환자 죽음의 약 70% 정도는 암의 전이와 직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이 위험을 줄이는 것은 암환자들의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하지만, 암 치료 기술의 많은 발전에도 불구하고, 암 전이를 예방하거나 확률을 줄이는 치료약물의 성공은 없는 실정이다.

조종관 교수, 오현묵 군
조종관 교수, 오현묵 군

한편, 암의 전이를 결정짓는 인자들은 암세포 자체의 돌연변이 축적에 의한 전이성을 획득하는 것은 물론이고, 최근에는 인체의 면역력과 함께 암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s) 인자들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천연물을 활용한 항-전이효능의 소재개발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는데, 대전대학교 한방병원 동서암센터의 조종관 교수팀은 2021년도 부터 홍삼의 진세노사이드 Rg3를 강화한 약물을 개발하여 암환자들에게 처방하고 있다.

Rg3는 인삼의 사포닌 성분 중 항암 작용이 가장 뛰어난 물질로, 인삼을 쪄서 만든 홍삼에서 Rg3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그동안 여러 연구를 통해서 Rg3의 암성장 억제, 면역증강 및 항암치료 부작용 감소 등의 결과들이 발표되었었다.

또한, 부분적으로 암의 전이와 관련된 연구가 있었는데, 이번에 대전대학교 동서암센터의 조종관 교수팀이 전 세계의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진세노사이드 Rg3가 암의 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약물로 개발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2022년 08월 국제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IF: 6.208)에 게재되었다.

주저자인 동서암센터 전공의 3년 차인 오현묵군의 연구를 지도한 조종관 교수는“본 연구는 진세노사이드 Rg3가 암의 전이를 억제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여 향후 진세노사이드 Rg3의 임상적 적용 및 이를 활용한 새로운 전이억제 항암제 개발에 단서를 제공했다는 의미가 있다”라고 전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