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김거수 기자] 전국의 보편적 통신 접근성을 개선하고 가계통신비 부담을 덜기 위해 구축된 공공와이파이의 광역시도 지역 간 격차가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이정문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광역시도별 면적대비 구축된 공공와이파이 개소가 100㎢ 당 가장 많은 곳은 서울 948개, 가장 적은 곳은 강원도 14개로 무려 약 68배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청권을 살펴보면 대전은 100㎢당 개소가 397개, 충남은 23개, 세종은 73개, 충북은 20개로 큰 격차를 보였다.
이 같은 격차가 발생하는 이유는 구축된 공공와이파이의 회선료 및 장비 유지·보수비 등의 운용비용(1개소당 월 3만 3천 원)을 지자체가 전부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재정여건이 충분한 지자체만 추가적으로 공공와이파이를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이 의원의 설명이다.
내용연수가 초과된 공공와이파이 장비에 대한 교체와 관리도 문제다. 공공와이파이 AP(무선액세스포인트)의 내용연수는 6년으로, 지난 2020년 과기부는 2014년 이전에 설치된 AP 장비에 대해 한차례 교체를 진행했다.
하지만 아직 교체되지 못한 2014년 이전 설치 장비와 2015년 이후 구축분에 대해서는 AP 장비의 내용연수가 한참이나 초과된 장비더라도 교체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속도저하, 접속지연 등 잦은 품질 장애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구축된 공공와이파이에 대해 유지보수는 별도 예산을 편성하지 않고 지자체가 납부하는 월 3만 3천 원의 회선료 내에 통신사의 유지·보수 관리비가 포함되어 있다 보니 통신사업자의 입장에선 공공 와이파이에 대한 적극적인 운영 및 관리 유인책이 부족하고 이는 적시의 장비 교체 및 유지·보수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정문 의원은 “지자체별 공공와이파이 구축률 차이로 인해 통신소외계층이 증가할 우려가 있으므로, 지역·계층 간 이용격차를 해소하고 통신 공공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지역 간 공공와이파이 구축 격차를 줄여나가야 한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