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강선우 의원 "생계형 폐지수입 노인 일당 최저임금 10% 수준"
민주 강선우 의원 "생계형 폐지수입 노인 일당 최저임금 10% 수준"
  • 김거수 기자
  • 승인 2022.10.05 10: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전 420명, 세종 49명, 충남 685명 추산... 수입보전 시급
민주당 강선우 의원
민주당 강선우 의원

[충청뉴스 김거수 기자] 대전지역에서 생계를 위해 폐지를 줍는 노인의 수가 400명을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적으로 폐지를 줍는 노인은 약 1만 5000명에 달했다.

이 같은 결과는 더불어민주당 강선우 의원이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서 받은 ‘폐지줍는 노인 현황과 실태’ 연구보고서를 통해 드러났다. 폐지수집 노인의 수가 파악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의 폐지수집 노인은 최소 1만 4800명에서 최대 1만 5181명으로 추정된다.

시도별로는 경기(2,782명), 서울(2,363명), 경남(1,234명)에 폐지수집 노인이 많고, 대구(1,072명), 경북(1,016명), 인천(919명), 부산(848명), 전북(731명), 충남(685명), 전남(619명), 충북(586), 광주(577명), 강원(456명), 울산(452명), 대전(420명), 제주(146명), 세종(49명) 순이다.

이는 생계를 위해 폐지수집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노인의 수로, 소일거리로 하거나, 다른 일을 하면서 여유시간에 폐지를 줍는 노인을 포함하면 그 수는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 강 의원의 설명이다.

생계형 폐지수집 노인 10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폐지수집 노인의 하루 평균 이동 거리는 12.3km이었으며, 노동시간은 11시간 20분으로 나타났다. 

평균 일당은 10,428원으로, 이를 시급으로 환산하면 948원에 불과했다. 이는 올해 최저임금인 9,160원의 10% 수준이다.

연구는 2021년 12월 29일부터 2022년 2월 26일까지 적극적으로 폐지를 수집하는 노인 10명을 섭외해 목걸이형 GPS 추적 장치를 지급하고, 각자 6일간의 활동 실태를 추적한 결과이다.

강선우 의원은 “폐지수집 노인들이 폐지를 줍지 않고도 당장의 생계유지에 지장이 없도록 국가 지원이 시급하다”며 “단기적으로는 사회적 기업 연계, 국비·지방비 직접 지원을 통해 수입을 보전해야 하고, 장기적으로는 공공형 일자리로 끌어안아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