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봉 과학부시장 "대전이 우주산업 주도적 역할" 기대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대전을 포함한 우주산업 클러스터 '3축 체제'가 최종 확정됐다. 기존 발사체(전남 고흥), 위성(경남 사천)에 더해 연구·인재 개발 특화 지구가 추가된 건데 대전시가 마지막 퍼즐을 맞추게 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는 7일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우주산업 클러스터 계획 수정안을 확정했다.
과기부는 3각 체제를 공식화하고 우주산업이 지속 성장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대전시가 유력한 연구·인재 개발 특화지구는 미래 신산업 창출을 위해 필요한 연구개발 및 인재양성 기능에 특화한다는 방침을 내놨다.
이석봉 대전시 과학부시장은 이날 오후 긴급 기자간담회를 갖고 "윤석열 대통령이 100일 기자회견 때 우주산업 클러스터의 3축 체제를 언급해 과기부의 입장 변화가 감지됐고, 오늘 실무위에서 3축 체제로 간다고 공언했다"며 "대전이 우주산업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계획에 맞춰 준비를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야당 간사인 조승래 의원도 3축 체제 확정에 대해 환영의 메시지를 냈다.
조 의원은 이날 성명을 통해 "지난 4일 진행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사업 변경 의지를 확인한 바 있다"며 "3축 체제는 대전 포함을 공식화한 것으로 이제 국가우주위원회 심의를 거쳐 사업이 최종 발표되면 본격적으로 사업이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 발 앞서있는 전남과 경남과 함께 예비타당성 조사에 포함되기 위해선 대전의 준비가 중요하다"며 "대전이 갖고 있는 인프라와 역량을 총동원해 최종 발표 전까지 구체적인 사업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대전시는 오는 10월 연구·인재개발 특화지구 후보지 선정과 사업계획서 검토를 거쳐 11월 국가우주위원회에서 특화지구 최종 지정까지 전력투구에 나설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