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대전시가 정부 민간주도 우주산업 육성을 위한 우주산업 클러스터 3각 체제에 포함됐다. 이로써 대전은 향후 우주산업 개발·육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1일 국무총리 주재 제22회 국가우주위원회를 개최해 대전을 '연구·인재개발 특화지구'로 지정하는 내용의 '우주산업 클러스터 지정안'을 심의·의결했다.
우주산업 클러스터는 연구·인재개발 특화지구인 대전을 비롯해 ‘발사체 특화지구’인 전남, ‘위성 특화지구’인 경남 등 3각 체제로 운용된다.
이번 우주산업 클러스터 대전 지정은 이장우 대전시장의 강한 추진력이 빛을 발했다고 평가된다.
앞서 대전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ERI) 등 14개의 연구기관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우주 전문교육이 이뤄지는 3개의 대학교, 쎄트렉아이 등 국내 최고 수준의 우주기업 69개가 집적돼 있어 폭발적인 성장 잠재력을 갖춘 우주산업 클러스터의 최적지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지난 7월 과기정통부가 우주산업 클러스터에 위성 및 발사체 특화지구로 경남과 전남만을 후보지로 선정하면서 ‘대전 패싱’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이 시장은 대통령 비서실장, 경제수석 등 대통령실 관계자, 과기정통부 장관 등에게 대전을 포함한 3각 체제 필요성을 적극 피력하고 국민의힘-충청권 예산정책협의회에서도 같은 입장을 전달해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받은 바 있다.
이 같은 노력 끝에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대전을 포함한 3각 체제 구축이라는 공식 발언을 이끌어냈고 지난 11월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 발표를 통해서 대전-전남-경남 3각 체제가 재차 언급됐으며 이번 국가우주위원회를 통해 마침내 우주산업 클러스터 3각 체제가 최종 확정됐다.
대전시는 우주산업 클러스터 연구·인재개발 특화지구 지정에 따라 3대 추진전략으로 ▲(가칭)첨단우주센터 건립 ▲미래 우주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대전 특화 우주전문 인재육성 등을 마련하고 과기정통부와 긴밀한 협의를 통해 세부 사업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아울러 대전시는 우주산업 클러스터 조성 계획과 연계한 우주산업 육성 특화 방안을 마련해 대전을 명실상부한 우주특별시로 만들어 간다는 계획이다.
이장우 시장은 “대전을 포함한 우주산업 클러스터 3각 체제가 확정된 것은 우리나라가 글로벌 우주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최고의 기회이자 새로운 출발점”이라며 “앞으로 핵심기술 개발과 전문 인재양성을 위한 내실 있는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3각 체제의 중심 클러스터로 차질 없이 조성해 국가 우주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일류 경제도시 대전을 만들어 가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이번 우주산업 클러스터 지정과 함께 특화지구별 다양한 지원을 집중하고, 유기적 상호 연계와 협업을 통해 국내 우주산업 육성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대전은 우주분야 핵심 연구기관, 교육기관, 기업이 밀집한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개발 전문성과 인프라를 보유한 지역이라고 평가하며 앞으로 미래 우주 신산업 창출을 위해 필요한 미래 선도형 연구개발과 우수 연구인력 양성 등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