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당 분자 축적에 의한 뇌막 및 뇌막 생성세포 변화 확인
KAIST, 당 분자 축적에 의한 뇌막 및 뇌막 생성세포 변화 확인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3.03.15 13: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화로 인한 뇌막 성질 변화 연구에 대한 대표 모식도
노화로 인한 뇌막 성질 변화 연구에 대한 대표 모식도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노화된 뇌막 쏙 쌓인 당이 장애를 유발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규명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바이오및뇌공학과 김필남·정용 교수 연구팀이 뇌를 감싸고 있는 뇌막(뇌수막)이 노화에 따른 당 축적이 되면서 뇌 피질을 감싸고 있는 방어벽 기능에 장애가 일어남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뇌막은 뇌를 감싸고 있는 얇은 막으로 뇌척수액과 피질의 경계에 존재하며 뇌를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연구팀은 고령자의 뇌막에서 당 분자의 과도한 축적을 확인하고, 생쥐 모델에서도 나이에 따른 당의 축적이 이뤄짐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뇌막이 노화로 인해 생기는 기능이상이 뇌 속 ‘남아도는’ 당에 의해서 유도됨을 밝혔다. 특히 노화에 의해서 뇌막이 얇아지고 끈적해지면서 뇌척수액과 뇌피질과의 물질교환이 감소하는 것에 대한 원리 규명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게 됐다.

김효민 연구원은 “인간의 뇌에서 시작해서 생체모사 뇌막 모델과 동물모델을 활용한 융합적 접근으로 노화로 인한 뇌 장벽 변화에 대해 규명한 흥미로운 연구ˮ 라고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김필남 교수 연구팀은 이러한 뇌막을 비롯한 인체 전반적으로 쌓이는 당을 제거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