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알츠하이머병 유발 단백질 형성과정 규명 연구 소개
한국연구재단, 알츠하이머병 유발 단백질 형성과정 규명 연구 소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3.04.12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밀로이드 베타(1-42) 단백질의 소수성 영역을 표적하는 저해제를 활용한 병원성 아밀로이드 응집체 형성 억제 설명도.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단백질 형성과정을 규명했다.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 김준곤 교수와 부산대 최정모 교수 연구팀이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인 아밀로이드 베타의 응집 과정을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단백질의 병원성 아밀로이드 응집체 형성을 억제하는 신규 응집 억제제를 발굴했다고 12일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하기 위해 세계적으로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의 섬유 응집체를 표적으로 하는 항체 치료제 연구가 활발하다.

최근 ‘레카네맙’이 경도 인지장애에 대한 증상 완화 효과를 인정받아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FDA의 승인을 받았지만 여전히 많은 치매 치료제 후보물질이 증상 완화 효과가 부족해 약물로 승인받지 못한 상황이다.

연구팀은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의 각 영역이 병원성 아밀로이드 응집체 형성과정에 참여하는 역할을 규명하여,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응집을 억제하기 위한 핵심 표적 영역을 특정했다.

연구팀은 인공지능 기반 단백질 복합체 구조예측을 통해 단백질의 각 소수성 영역에 결합하는 저해제 후보물질을 발굴했으며, 실험을 통해 단백질 응집 저해 및 신경 세포 독성완화 효과를 확인했다.

김준곤 교수는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응집의 핵심 영역을 비활성화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유형의 신규 응집 저해제를 발굴하면, 치매 치료제 후보물질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며 “후속 연구를 통해 저해제의 효과를 표적 영역으로 집중시킬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