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협력 거버넌스 체계 구축 충청광역청 설립,
- 충청권 생활경제권 통합으로 추진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충청권 특별지방자치단체 합동추진단은 4개 충청권 자치단체 간 초광역 협력사업을 추진하는 ‘충청권 특별지방자치단체’ 설치를 목표로 구성된 조직이다.
지난해 10월 행정안전부로부터 1국, 3과, 9팀 총 37명 규모로 한시기구 승인을 받았으며, 세종시 지방자치회관 1,2층에 사무실을 꾸리고 4개 시·도 구성원이 모여 업무를 추진 중이다. 4개시도에서 각 5억 원씩의 투자가 바탕이 됐다.
합동추진단은 ▲특별지자체 기본계획 수립 ▲규약 제정 ▲초광역사무 발굴 ▲국가이양사무 발굴 ▲특별지자체 의회 설치 종합계획 수립 ▲대외협력 등 충청권 초광역협력에 필요한 사무를 공동 추진한다.
이같은 초광역 협력업무 개시한지 50여 일 남짖한 충청권 특별지방자치단체 합동추진단(이하 추진단, 사무국장 김현기)은 13일 세종시기자협의회와 간담회 자리를 함께 했다.
김현기 사무국장은 첫 일성으로 “충청권의 힘을 모아 미래 국가혁신성장을 이끌겠습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출범식에서 나타났듯 4개 단체장들간의 생각이 다소 다른 점은 물론 있지만 ‘초광역협력체계 구축’이라는 더 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공동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만든 단체가 합동추진단”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기존의 지자체는 유지하고, 우선적으로 관광과 교통분야의 과제를 중심으로 시작해 특별한 초광역 자치단체를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함께 “EU처럼 경제권 통합으로 가야 한다고 보며 추진단에서는 어떤 사업을 할 것이며, 이 사업을 하면 어떤 효과가 있다는 것을 만들어야 한다. 즉 논리적 통합으로 가는 것”이라며 시급한 문제로는 “시민이 동감하는 사업을 만들어 면밀히 검토하고 지자체와 의회의 공감을 얻어내고 설득시킨 후, 시민들을 이해 시키는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4개 시도를 대표해 모인 구성원간의 불협화음 우려에 대해서 김 사무국장은 “저 뿐만 아니라 선발된 구성원들이 자기 출신 시도의 이익을 먼저 따지기보다 공통적인 관심사를 우선시해야 한다는 믿음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우선적으로는 금년말까지의 한시적인 기구이지만 어떤 형식으로든 그 기대에 걸맞는 임무와 역할이 주어질 것으로 보며 궁극적인 목표인 지방자치의 새로운 중심인 충청권 특별지방자치단체의 탄생을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김현기 사무국장은 충북 청주 출신으로 대전에서 학창시절을 보냈으며 충남과 행복청 그리고 세종시에서 공직생활을 하고 있는 대표적인 ‘종합 충청맨’이라고 불릴 정도로 강력하지만 원만한 업무 추진력을 높게 평가받고 있다.
김 사무국장을 중심으로 초광역지원과장을 맡고 있는 임재진 부이사관. 충남 출신으로 대전시 공보관과 국장 그리고 부구청등으로 잔뼈가 굵은 정통 엘리트 공직자로 정평이 나있다.
여기에 충남 출신의 박일순 초광역기획과장과 충북 경제통인 이미자 초광역사업과장이 합동추진단의 핵심으로 조직을 이끌고 있다.
합동추진단의 주요 업무는 1단계로 특별지방자치단체 출범 준비와 충청 협력 거버넌스 체계 구축을 시작으로 2단계인 충청 광역청(특별지방자치단체)설립·운영, 마지막 3단계에는 충청권 생활경제권 통합이다.
합동추진단은 향후 전략산업 육성으로 충청권 지역경제 활성화와 광역 교통망 확대로 경제공동체 및 3050생활권 형성, 일선 국가사무 위임으로 선도적 지방분권 모델 확립, 공통사무의 통합 운영으로 주민제공 행정서비스 효율 제고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