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형 클라우드시스템 고도화‧확산... 탄소중립 실천
세종형 클라우드시스템 고도화‧확산... 탄소중립 실천
  • 최형순 기자
  • 승인 2023.04.23 14: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물리적 서버 137대 가상 인터넷 자원공유(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전환
- 연간 204.8톤의 탄소를 절감 수치로, 매년 약 3만 6,428그루의 나무 심는 효과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세종특별자치시(시장 최민호)가 기후변화주간을 맞이해 시·산하기관 정보시스템으로 활용하던 물리적 서버 137대를 가상 인터넷 자원공유(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전환하면서 획기적인 탄소배출 감축 효과를 거두고 있다.

브리핑 하는 채수경 세종시 기획조정실장 
브리핑 하는 채수경 세종시 기획조정실장

채수경 기획조정실장은 23일 “앞으로도 세종형 클라우드시스템 고도화‧확산시 친환경시스템 정책으로 탄소중립 실천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인터넷 자원공유(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과 연결된 중앙컴퓨터에 데이터를 저장해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는 최신 정보통신기술(IT) 서비스로, 시는 네이버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다.

시는 네이버 서비스를 이용해 지난달부터 시와 산하기관 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컴퓨팅 시스템으로 전환, 물리적 서버 137대를 가상서버로 전환했다.

이에 따라 물리적 서버 운영에 투입되던 전력 소비량이 획기적으로 감소했는데, 이를 연간으로 환산하면 종전 48만 48㎾에서 5만 1,579㎾로 약 89.3%의 전력이 덜 소비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연간 204.8톤의 탄소를 절감하는 것과 같은 수치로, 매년 약 3만 6,428그루의 나무를 심는 효과와 같다.

시는 앞으로 가상융합서비스 구현 등 디지털 인프라 구축에 친환경시스템으로의 전환을 가속화 할 수 있도록 업무시스템 개발‧구축시 클라우드 우선 적용을 추진할 계획이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