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도심형 항공 모빌리티(UAM) 등에 적용 가능한 자기강화복합재료를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전자파솔루션융합연구단 김재우 박사가 한양대, 전북대 연구팀과 폴리프로필렌(PP) 고분자 한 종류만 사용한 100% 자기강화복합재료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지금까지는 자기강화복합재료의 제조공정에서 유동성 및 함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강화재 혹은 기지재에 화학적으로 다른 성분을 혼합해왔기 때문에 물성과 재활용 가능성 모두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4축 압출 공정을 통해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의 사슬 구조를 조절하여 용융점, 유동성 및 함침성을 제어하는데 성공했다.
개발된 자기강화복합재료는 접착강도, 인장강도 및 충격 저항성이 기존 연구결과 대비 각각 333%, 228%, 2700% 향상된 최고 수준의 기계적 물성을 달성했다. 소형 드론의 프레임 소재로 해당 재료를 적용했을 때 기존 탄소섬유강화복합재료 대비 52% 가볍고, 비행시간은 27% 증가해 차세대 모빌리티 적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김재우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100% 자기강화복합재료 엔지니어링 공정은 산업계에 즉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공동연구팀과 남전산업 및 현대자동차 등 산업계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자기강화복합재료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