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대전지부가 대전시교육청에 단체교섭을 촉구하며 순환 파업에 나선다.
학비노조 대전지부는 15일 대전시교육청 본 청사 앞에서 학교비정규직노동자 투쟁 선포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학비노조는 간부는 무기한 파업, 각 학교에선 순환 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방학 중 비근무자들의 문제 해결 방안, 급식실 등 산업재해 안전대책 수립 등을 촉구하고 있다.
특히 방학 중 비근무자의 생계를 위한 출근일수 확대, 상시직으로 일하며 교육공무원과 유사한 업무를 수행하면서도 연차나 병가 사용이 어려운 이들을 위한 자율연수 기회 보장 등도 요구하고 있다.
또 급식실 근로자에 대한 산업재해 안전대책과 1인당 식수 인원 하향 등 기준의 완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학비노조 대전지부는 “방중비근무자 출근일수 확대는 생존권을 위한 최소한의 요구이며, 상시직 자율연수는 가혹한 노동환경에 대한 차선의 대책”이라며 “급식실 배치기준 하향은 죽지 않고 일하겠다는 인간 선언이며, 고유업무 확정은 노예처럼 살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5년간 지지부진 끌어온 단체교섭을 올해 끝내겠다"고 말한 학비노조 대전지부 이영주 지부장과 민경임 수석부지부장의 삭발식이 진행되기도 했다. 두 간부의 머리카락이 잘려나갈때마다 눈물을 흘리는 조합원도 있었다.
이들은 “학비노조 요구를 다 수용해도 연단위에서 7~80억 원 정도면 모두 가능한 일인데 시교육청은 ‘예산이 많이 든다’, ‘법적 책임을 다했다’는 이유로 거부만 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한편 시교육청은 단체교섭에 성실히 임하겠지만 학비노조의 요구를 전부 수용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자율연수의 경우 교원들에게만 법적으로 보장된 부분이고 방학 중 비근무자와 관련한 문제 역시 근로계약서 상에 모두 명시가 돼 있는 사항”이라며 “워낙 입장 차가 극명해서 학비노조 대전지부의 요구들을 모두 수용하기는 힘들다”고 했다.
현재 학비노조와 시교육청 간 입장 차가 커 교섭 타결을 위해선 시간이 적잖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