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기념관, 의병 ‘오덕홍·김일언·정래의’ 6월 독립운동가 선정
독립기념관, 의병 ‘오덕홍·김일언·정래의’ 6월 독립운동가 선정
  • 박동혁 기자
  • 승인 2023.06.02 10: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뉴스 박동혁 기자] 독립기념관은 국가보훈처, 광복회와 공동으로 오덕홍, 김일언, 정래의 선생을 6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일본군에 피체된 호남 의병장들/독립기념관 제공

독립기념관은 선정된 독립운동가들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오는 30일까지 독립기념관 야외 특별기획전시장에서 전시회를 진행한다.

전시회에는 1909년 호남 의병장들의 모습, 산남의진의 4차 결성지 거동사 사진 등이 전시된다.

오덕홍, 김일언, 정래의는 전라도와 경상도에서 결성된 호남의병과 산남의진에 참여해 일본군의 탄압에 항쟁했다.

산남의진 4차 결성지 '거동사'/독립기념관 제공

오덕홍은 1885년 전남 나주에서 태어났다. 그는 1909년 일제의 이른바 ‘남한대토벌작전’으로 호남의병의 세력이 위축되자 나주에서 독자적으로 의병을 결성했다. 그는 30여 명의 유격부대를 이끌고 일본군을 기습 공격하거나, 밀고 행위자를 처단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던 중 1909년 9월 23일 나주군 아계면 일동에서 일본군에 붙잡혀 순국했다.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1997년 애족장을 추서했다.

김일언은 1907년 4월 산남의진의 우포장으로 선임돼 일본군과의 교전에서 활약했다. 그는 산남의진이 8월 18일 경북 청하군 죽장면에서 일본군과 교전할 당시 일본군 척후병 1명을 사살했고, 8월 24일 일본군 영천수비대 1명을 처단했다. 같은 달 29일 입암전투에서 김일언은 조암으로 이동해 매복 작전을 수행했지만, 교전 끝에 정용기 의병장을 비롯한 산남의진의 주요 병력이 전사했다. 이후 김일언은 산남의진의 3대 의병장 최세윤을 보필해 소규모 유격전을 전개했다.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2010년 애족장을 추서했다.

정래의는 1872년 경북 영일군에서 태어났다. 그는 1907년 산남의진의 우익장으로 선임돼 의병 활동을 시작했다. 정환직, 최세윤 의병장 하에서는 좌익장과 참모장으로 임명돼 경북 흥해, 영해, 청하군 등지에서 활동했다. 그는 1908년 8월 산남의진이 해산된 이후에도 산남의진 생존자 모임인 참동계를 조직해 항일운동을 이어나가려 했지만, 밀정의 밀고로 일경에 붙잡혔다. 그는 고문을 당하는 등 고초를 겪다가 1927년 10월 기소중지로 풀려났다.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2022년 건국포장을 추서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