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연, 위암 맞춤형 치료제 개발 박
생명연, 위암 맞춤형 치료제 개발 박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3.06.05 14: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세대 의료원과 원큐어젠㈜ 기술이전 협약
(왼쪽부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장성 원장, 원큐어젠 최영권 대표, 연세대 의대 정재호 교수
(왼쪽부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장성 원장, 원큐어젠 최영권 대표, 연세대 의대 정재호 교수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연세대 의료원과 함께 미만형 위암 치료타겟의 저해제 및 진단마커 기술을 연구소기업인 원큐어젠㈜에 이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위암은 형태에 따라 장형과 미만형으로 구분한다. 장형이 암세포가 한곳에 모여 덩어리로 자라는 반면, 미만형은 깨알같이 작은 암세포가 위벽을 파고들면서 넓게 퍼져 자라는 형태로 조기진단이 어렵고 예후가 나쁜 것이 특징이다.

생명연 유전체맞춤의료전문연구단 원미선‧김보경 박사 연구팀은 연세대 의과대학 연구팀과 SYT11(Synaptotagmin-11) 유전자의 미만형 위암 예후 진단과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기전을 새롭게 밝히고 이를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파킨슨병 연구에서 신경전달물질의 조절자로 알려진 SYT11이 미만형 위암 환자에게서 발현율이 높고, 발현량이 많을수록 미만형 위암 환자의 생존율이 감소한다는 사실과 더불어 SYT11 발현을 억제하면 미만형 위암 종양 형성과 암 전이가 억제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SYT11의 발현을 진단하고 저해하는 물질을 발굴했다.

특히 연구팀은 발굴한 SYT11 저해제가 미만형 위암뿐만 아니라 줄기성 암의 특성을 가진 뇌종양, 난소암에 대한 적용 가능성도 확인한 바 있다.

원큐어젠㈜은 2020년 9월 생명연과 코스닥 상장사인 ㈜아이큐어가 합작투자형으로 설립한 제1000호 연구소기업이다.

생명연은 원큐어젠㈜에 정액기술료 총 340억 원과 경상기술료 ‘매출액의 2%’를 조건으로 'SYT11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암 치료용 조성물', '미만형 위암의 예후 진단 마커' 특허를 이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SYT11 기반의 항암제 개발과 해당 항암제를 투여받은 미만형 위암 환자의 진단과 예후 예측, 치료 전략 수립이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생명연 원미선 박사는 “미만형 위암 치료 모델인 SYT11 표적 치료약물이 빠른 시일 내 개발되어 미만형/줄기성 위암 환자의 맞춤치료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