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선진당 성완종 후보는 태안 기름유출 사고의 실질적 보상을 위해 국회와 관련 중앙부처를 통해 태안지역 피해 어민들에게 신속하고도 완전한 보상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한시적 ‘특별법’을 제정하겠다고 밝혔다.

성 후보는 “태안 기름유출 사고가 발생한지 4년이 지났으나 아직도 피해 지역 주민들에 대한 완전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경제적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문제가 갈수록 심각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고 강조하면서 “정부는 미온적인 자세로 일관하지 말고 국가적 재난으로 인식하고 조속한 사태수습을 위해 적극성을 보여 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현재 답보 상태에 있는 현황을 분석해보면, 전체 1조2,849억 원의 피해신고가 있었지만 지금까지 보상금이 지급된 것은 391억 원으로 전체의 3%에 불과한 실정이며, 전체 어업 종사 피해자 신고 건수의 85%를 차지하는 맨손어업 주민들의 피해 신고 건수는 4만9,377건(3,806억 원)에 달하는데 인정 건수는 1만6,976건(140억 원)에 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지급액 역시 92억 원으로 피해 보상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상태.”라고 말했다.
아울러 태안의 유류피해 주민들은 관계 법률에 따라 국제기금의 사정과 별도로 국내 법원에서 피해에 대해 인정을 받게 되면 정부가 보상을 하게 되어 있지만, 상당수의 피해 주민들은 법률지식 부족과 비용, 판결 시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현실 때문에 이중고에 시달릴 수밖에 없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삼성 측은 ‘지역발전협력기금’ 명목으로 1,000억 원외에는 어떤 책임도 지려고 하지 않고 있는데다가 약속했던 1,000억 원의 지역발전협력기금도 ‘합의가 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유보하고 있는 실정이다.
성 후보는 삼성 측에 “지역발전기금의 조속한 지원 및 사회적 책임이행으로 모범적인 사례를 만들어 달라.”고 촉구하고 “서해안 어장의 환경과 생태계를 기름유출 사고 이전의 상태로 복원시키는데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성 후보는 2007년 기름유출 사고 당시 자신이 이끄는 충청포럼 회원과 서산장학재단, 경남기업 직원 등 2,000여 명과 함께 방제 및 응급복구 자원봉사에 직접 참여한 바 있으며, 조선일보를 통해 피해복구 성금 10억 원을 기부하기도 했다.
지역에서는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 언론에 칼럼을 기고하는 등 태안지역 피해 어민들의 보호와 사태수습을 위해 가장 적극적인 목소리를 높인 인물로 성완종 후보를 평가하고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