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규리시아카데미 원장, “나 다운 시낭송을 하라"
변규리시아카데미 원장, “나 다운 시낭송을 하라"
  • 최형순 기자
  • 승인 2023.07.09 08: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나를 멈추게 하는 곳 내 시선이   멈춰선  곳을 깊게 들여다보고 연구 하다보면 나만의 온도와 색깔이 나온다.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변규리시아카데미 원장(대전시낭송예술인협회 대표)은 “변규리 시아카데미 17기 강의에서 시의 한연 한연에도 기승전결이 있다”고 말하면서 "모방이 아닌 나 다운 시낭송을 하라"고 말했다.

변규리시아카데미 원장(대전시낭송예술인협회 대표)

그러면서 "시를 낭송하다 보면 어떤 싯구절에 마음이 가 닿는 곳, 시선이 멈춰선 곳을 깊게 들여보면 나만의 온도와 색깔이 나오고 '나 다운 시낭송이 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과한 기교를 넣고 패턴을 만드는 건 강조가 아니라 듣는 사람 귀를  불편하게  하는것" 이라고 덧붙였다.

이와함께 “시낭송은 대화하듯이 담백하고, 거기에다가 음도를 정하며 여백을 주고, 고저장단 완급을 조절 하는 것” 결국 아름다운 시낭송은 청중의 감정선에 가 닿는것" 이라고했다.

또한 “울지 마라~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살아간다는 것은 외로움을 견디는 일이다”라는 정호승 시인의 시 ‘수선화에게’를 소개했다. 

정호승 시인의 시 ‘수선화에게’ 소개하는 변규리 대표

이 시는 물가에 홀로 핀 수선화를 보며 느낀 외로움의 정서를 살아있는 모든것에 외로움을 상징하는 수선화에게 이야기하는 형식으로 담아낸 시이다.

이 시에서 화자는 이런 외로움을 다른 대상을 통해 벗어나거나 피하려고 하지마라. 외로움은 다른 누군가를 통해 해소되어야 하는 부정적 정서가 아니라, 살아있는 모든 존재가 느끼는 보편적 정서로, 우리가 수용하고 받아들여야 하는 삶의 한 부분 숙명이다.견디는 것이다.

제 17기 수강생은 김경하, 김민정, 김소연, 노희경, 박현서, 송지안, 양선희, 이휘람, 이양희, 임미경, 정남순, 조관숙, 진희, 최형순, 황기호 15명이 풍요로운 삶의시작 더 성장하는 나 아름다운 변화의 도전중이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