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의 나노융합산업의 핵심 기반시설인 ‘기능성나노소재사업화지원센터’가 문을 열고 본격적인 기업지원 서비스에 들어갔다.

이날 개소식에서 염홍철 대전시장은 “대전은 40여년 된 대덕연구단지에서 IT, BT 등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앞으로는 나노산업과 국방 산업을 특화시켜야 한다”며“시는 오는 2020년까지 1조 이상을 들여 단계별로 나노산업 육성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향후에는 나노 산업단지도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염 시장은 “오늘 지원센터 개소는 상당히 중요하고 큰 의미가 있다”며“산업은 기업이 일으키는 것이며, 이를 위해 시는 장비 지원과 기술지원, 마케팅 지원 등 다각적인 방법으로 적극 지원에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기능성나노사업화지원센터는 유성구 관평동 705번지 일원에 사업비 158억원(국비 88억원, 시비 70억원)을 들여 지하1층, 지상 3층 연면적 6254㎡규모로 이 센터는 나노융합분야 연구 성과의 상용화와 시제품 생산, 신기술 개발 등 일원화된 지원시스템으로 운영된다.
이번 센터 개소와 함께 대전테크노파크에 있는 나노소재센터에 나노화학소재 합성반응기 6대, 나노그라비아코팅기 1대, 물성평가장비 8대 등 총 3종 15대의 장비 구축으로 그동안 나노관련 기업들이 장비활용을 위해 울산 TP(정밀화학센터)나 전남 TP를 이용하는 불편을 완전히 해소하게 됐다.
이에 따라 대전은 글로벌 원천기술 확보 및 기업지원을 위한 나노소재기술 핵심인프라가 구축돼 나노 기술개발 상용화 및 벤처·창업지원 등의 사업이 한층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또 국내최대 규모의 나노분야 연구개발 지원기관인‘나노종합팹센터’와 함께 나노융합산업 육성을 위한 양대 산맥의 형성으로 명실상부한 나노융합산업 허브도시로서 면모를 갖추게 됐다.
송치영 시 신성장산업과장은“대전은 산·학·연이 밀집된 지역으로 전국 최고의 나노융합산업 육성을 위한 연구개발(R&D)기반과 연구인력 집중배치로 나노융합 사업화를 위한 연구‧평가‧인증기반 제공이 용이한 곳”이라며“이번 센터출범으로 시험생산 활성화를 통한 기업의 기술개발기간 단축과 경비절감, 나노기술 선점 및 특허대응 전략 강화 등 나노융합산업의 획기적인 발전이 한층 더 기대 된다”고 밝혔다.
한편, 대전시는 나노융합산업 육성을 위해 지난 2009년 나노융합산업 육성의 기본방향을 설정, 나노융합산업 허브도시를 선포했으며, 지난해는 대전지역을 나노융합산업 클러스터를 조성을 천명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