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고효율·초저전력 웨어러블 스마트 소자 개발 연구 소개
한국연구재단, 고효율·초저전력 웨어러블 스마트 소자 개발 연구 소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4.03.13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화반전에 필요한 전력소모량 비교 그림
자화반전에 필요한 전력소모량 비교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고효율·초저전력 웨어러블 스마트 소자 개발에 대한 연구가 소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부경대 홍지상 교수 연구팀이 2차원 텅스텐 디텔루라이드(WTe2)/철갈륨디텔루라이드(Fe3GaTe2) 물질을 스핀-궤도 토크 소자로 이용해 기존 자성메모리 소자 보다 전력소모를 10분의 1로 줄인 계산 결과를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스핀-궤도 토크를 이용한 자성메모리 소자는 높은 안정성과 빠른 동작 속도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소자 구동에 필요한 임계전류와 전력 소모가 높아 에너지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2차원 자성체를 이용한 고효율 저전력 소자 이론 연구가 활발하다.

새로운 소자를 실재 연구와 산업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온도효를 고려한 이론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보고된 연구들은 대부분 절대영도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한 것으로, 온도효과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2차원 자성체인 Fe3GaTe2와 비자성체 물질인 WTe2로 이루어진 이종접합 구조를 활용하여 상온에서 전력소모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제시했다. 또 제일원리 방법을 이용해 WTe2/Fe3GaTe2 구조의 스핀-궤도 토크 효율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물리량들을 실재 온도효과까지 고려해 계산했다.

이를 통해 새로운 소자는 기존의 탄탈류(Ta) 및 백금(Pt) 기반 소자들과 비교하여 상온에서 전력소모량이 10분의 1 정도로 감소함을 알아냈다.

홍지상 교수는 “고효율, 저전력, 초스피드 작동 메모리 소자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는 가운데 이번 연구 결과가 관련 소자 개발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앞으로도 실험적으로 합성이 용이한 물질을 대상으로 고효율 저전력 소자 가능성을 확인하는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설명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