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전이성 폐암의 추적 및 치료가 한 번에 가능한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은 광주센터 이성수 박사 연구팀이 순천대와 타이니어(TiNIR)의 암전이 억제 효과를 생체영상화, 면역조직화학법, 3차원 홀로토모그래피 기술, RNA 시퀀싱 및 마우스 모델 동물을 이용하여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HO2가 새로운 항암 표적으로써, 유의하다는 연구결과를 생의학분야 권위지인 ‘Biomaterials Research’에 온라인 게재됐다고 밝혔다.
HO2는 세포에서 헴(heme)을 분해하는 효소로, 세포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활성산소(ROS)를 제거하는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HO2는 기존 연구에서 종양 줄기세포의 추적 및 치료를 위한 바이오마커로 보고된 바 있다.
연구팀은 3차원 홀로토모그래피 정량 분석기술을 폐암 전이암에서 활용, TiNIR 처리 후 살아있는 폐암세포의 움직임을 세계 최초로 실시간으로 분석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해 속도와 총 이동거리가 의미있는 수준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했으며, 또한 대조군과 TiNIR를 처리한 폐암세포를 각각 ‘활발히 움직이는 그룹’과 ‘거의 움직이지 않는 그룹’으로 분류했을 때 TiNIR를 처리한 암세포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는 그룹’의 비율이 대조군보다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함으로써, TiNIR의 암세포 이동 저해 효과를 확인하고 더 나아가 전이 억제 가능성을 증명했다.
이성수 박사는 “이번에 적용한 3차원 홀로토모그래피 기술은 살아있는 암 질환세포의 운동성을 실시간 추적하고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며 “앞으로 3차원 홀로토모그래피를 활용한 실시간 세포 추적 이미징 분석 기법은 암질환 극복 신약 개발 전략 제시에 시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