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발전엔 '원팀'...일부 현안 입장차
대전 발전엔 '원팀'...일부 현안 입장차
  • 김용우 기자
  • 승인 2024.05.16 14: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6일 이장우-민주당 국회의원 당선인 첫 상견례
협치 분위기 속 지역화폐 등 일부 현안 놓고 기싸움도
'협의체 정례화' 이견 표출
(왼쪽부터) 이장우 대전시장, 장철민 동구 국회의원
(왼쪽부터) 이장우 대전시장, 장철민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직무대행(동구 국회의원)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이장우 대전시장과 22대 총선 대전 국회의원 당선인들이 16일 국회 개원 전 첫 상견례를 가졌다.

양측은 초반 밝은 분위기로 지역 발전에 협력하자는 큰 뜻은 같이했지만, 일부 현안에는 미묘한 입장차를 보였다.

실제 현장에서는 지역화폐 정책 강화 요구, 윤석열 정부의 부자 감세 등 민감한 현안이 언급되자 다소 긴장된 분위기가 감지되기도 했다. 무엇보다 협의체 정례화에 대한 ‘인식차’도 명확히 드러났다. 

비공개 조찬을 마친 이 시장은 기자들과 만나 "각 지역구 현안마다 실·국장, 수석 보좌관의 상시적 협력을 통해 적극적으로 소통하자는 게 대전시 의견"이라며 "의원님들 입장은 협의체를 구성하자고 하는데 형식적 틀을 만들어 하는 것보다 개별 의원실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것이 훨씬 더 효율적"이라고 강조했다.

박정현 대덕구 국회의원 당선인이 모두발언에서 언급한 내용도 조목조목 반박했다. 박 당선인은 "윤석열 정부의 부자 감세 때문에 지방교부세가 굉장히 많이 줄었다"고 직격했다. 또 대전시에 지역화폐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을 요구했다.

이 시장은 '부자 감세'에 따른 지방교부세 부족 주장에 대해 "경제 침체나 국제 환경, 유가 급등, 고금리 등이 동반되고 있는 복합적인 상황"이라며 "이것이 윤석열 정부의 감세 때문이라고 판단하는 건 합리적이지 않다"고 맞받아쳤다. 

지역화폐 강화 요구에 대해서도 "지역화폐의 가장 큰 문제는 부자들이 더 많이 사용한다는 것이다. 어려운 분들과 소상공인들에게 혜택이 가지 않는다"며 "대전시는 소상공인들에게 직접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고 부자와 전문직, 공직자가 10%씩 다시 되돌려 가는 건 예산 운영에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직무대행을 맡고 있는 장철민 의원은 조찬 회동 후 브리핑을 통해 “지역별 현안은 의원실과 시에서 진행하는 것도 많다”면서도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 R&D예산 문제 등 큰 사안들은 공동 의제를 모아 정책 실무협의체에서 협력하는 정례화가 이뤄졌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또 장 의원은 “그동안 공동 의제들을 어떻게 풀어나갈지 방법론 정리가 안 되는 경우들 때문에 소모적으로 시간을 보내고 성과를 못내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협의체가 그런 역할들을 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 제안을 드리고 싶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대전 정치가 목표를 갖고 힘을 모아가는 데 좀 부족했다라는 반성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라며 “22대 국회에서 저희 민주당부터라도 그런 비판이 전혀 나오지 않게끔 지역 발전을 위해 힘을 모으는 것을 확실히 보여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