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온실가스 주범 제거하는 습지미생물 소개
한국연구재단, 온실가스 주범 제거하는 습지미생물 소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4.05.23 14: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생태계에서의 단일 미생물에 의한 메탄산화 및 아산화질소환원
환경생태계에서의 단일 미생물에 의한 메탄산화 및 아산화질소환원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주요 온실가스인 메탄(CH4)과 아산화질소(N2O)를 동시에 분해하는 습지미생물이 발견됐다.

한국연구재단은 충북대 이성근 교수 연구팀이 습지에서 서식하는 메탄산화미생물이 아산화질소 제거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고 그 원리를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메탄과 아산화질소는 이산화탄소보다 각각 25배와 298배 높은 온실효과를 발생시키는 대표적인 온실가스다.

자연에서 호기성(유산소) 미생물이 메탄을 이산화탄소로 산화하고, 혐기성(무산소) 미생물이 아산화질소를 대기 질소로 환원하면 온실효과가 사라진다.

일반적으로 미생물에 의한 메탄의 산화는 산소가 있는 조건에서 아산화질소의 환원은 산소가 없는 조건에서 발생한다.

하지만 메탄산화균이 습지, 논, 산림 토양, 지열 서식지와 같은 저산소, 심지어 산소가 없는 혐기적 환경에서도 자주 관찰되어 연구자들에게 수수께끼로 여겨졌다.

연구팀은 습지 및 극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메탄산화미생물의 유전체를 분석해 아산화질소 환원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발견했다.

또 실험을 통해 메탄산화미생물이 혐기성 조건에서 산소 대신 아산화질소를 호흡(환원)에 이용하여 성장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이를 통해 낮은 산소 조건에서도 습지미생물에 의해 메탄의 산화와 아산화질소의 환원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음을 밝혔다.

이성근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규명한 미생물의 특성을 이용하면 자연·인공 생태계에서 발생하는 메탄 및 아산화질소 감축 기술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 산소 농도에 민감하지 않은 아산화질소 환원 균주를 개발하여, 호기적 조건에서 아산화질소 제거 활성을 높이고, 온실가스 감축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추가연구를 계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