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주일대사관이 라인야후 사태와 관련해 늑장대응 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은 주일대사관이 총무성의 라인야후에 대한 네이버 자본관계 재검토 행정지도가 있은지 한 달이 지난 후에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기부 )에 관련 전문을 보낸 것으로 밝혀졌다고 19일 주장했다.
황 의원에 따르면 일본 총무성은 3월 5일 라인야후 개인정보 유출 관련 1차 행정지도를 내리며, 네이버와의 자본관계를 재검토하라 지시한 바 있다.
시장에서는 네이버의 지분 매각을 압박하는 행위라는 해석과 함께 일본이 라인 강탈을 위해 적극 움직이고 있다는 비판이 터져나왔다.
하지만 황정아 의원실이 과기부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주일대사관은 한 달이 지난 4월 초가 돼서야 주무부처인 과기부에 행정지도에 관한 전문을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과기부가 전문을 수신한 지 몇 주도 채 지나지 않은 4월 16일 일본 총무성은 두 번째 행정지도를 통해 “자본 관계에 관한 재검토 요구에 대한 진척 사항을 포함해 보안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필요 조치 검토를 가속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사실상 일본 정부의 라인 강탈 야욕에 대응할 수 있는 골든타임을 속절없이 흘려보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이다 .
과기부도 미온적인 대응을 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는 것이 황 의원실 입장이다.
과기부는 일본의 라인 강탈 야욕이 논란이 되고, 전문을 수신 받은 지 한참 이후인 4월 26일에나 처음으로 총무성 담당 과장을 만나 일본 정부의 입장을 확인했다.
또 5월 29일에는 차관 간의 면담을 통해 “행정지도는 라인야후에 보안 거버넌스 재검토 등을 요구한 것으로, 지분 매각을 특정한 것은 아님”이라는 일본 정부의 당초 입장이 유지되고 있음을 재확인했다고 했다.
하지만 차관 간 면담 이후 라인야후의 네이버 지우기는 오히려 속도를 받고 있다.
이달 초 라인페이 등 핀테크 서비스를 운영 중인 한국법인 ‘라인 비즈플러스’ 에 대한 청산이 결정되고, 지난 13일에는 라인페이를 서비스 종료 후 소프트뱅크의 ‘페이페이’ 로 통합한다는 결정이 발표됐다.
18일 라인야후의 주주총회에서는 “네이버에 위탁한 서비스 운용 등을 종료해 나갈 방침” 이라며 ‘탈 네이버’ 를 선언하기도 했다.
라인 비즈플러스 청산, 라인페이 서비스 종료 등에 관한 과기부와 일본 당국 간의 협의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황정아 의원은 “일본이 우리나라 기업이 키워온 글로벌 경제 플랫폼인 라인을 강탈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있는 동안, 정부는 늦장·미온적 대응으로만 일관하고 있다”면서 “라인 사태가 한일관계와 별개사안이라는 대통령의 대일 굴종외교 인식이 정부 부처에도 뿌리내린 것 아닌가하는 의구심만 강해진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