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 분자 하나로 양자의 성격 읽는 센서 개발
IBS, 분자 하나로 양자의 성격 읽는 센서 개발
  • 이성현 기자
  • 승인 2024.07.25 1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존 STM 이미지(왼쪽)와 개발된 양자 센서로 얻은 이미지(오른쪽)의 성능을 비유한 그림.
기존 STM 이미지(왼쪽)와 개발된 양자 센서로 얻은 이미지(오른쪽)의 성능을 비유한 그림.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분자 하나로도 양자의 성격을 읽을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양자나노과학 연구단장 연구팀이 독일 율리히연구소와 원자 세계를 위한 양자 센서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양자 센서는 양자얽힘이나 중첩과 같은 양자역학적 현상을 정밀 측정에 이용하려는 기술이다.

큐비트(양자비트)가 초전도, 이온트랩, 양자점 등 다양한 설계 방식으로 구현되듯, 양자 센서도 다양한 종류가 개발됐다. 하지만 기존 기술은 원자 수준의 공간 해상도(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최소 거리)를 달성하지는 못했다.

연구진은 양자 물질을 위한 일종의 자기공명영상장치(MRI)를 고안했다. 연구진이 고안한 시각화 기술은 주사터널링현미경(STM)의 뾰족한 탐침 끝에 PTCDA라는 분자를 부착하고, 전자스핀공명(ESR) 측정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연구진은 PTCDA 분자가 탐침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재료의 전자스핀공명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후 연구진은 원자 단위 센싱 성능을 검증했다. 은(Ag)과 철(Fe)이 섞인 물질에서 각 원자의 전기장과 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었다. 기존 기술은 단일 원자 크기 수준의 시료에서 전자기장 및 자기장을 측정하기 어려웠고 원자 크기 수준의 분해능으로 시료의 위치를 특정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개발된 양자 센서는 독보적 성능을 나타냈다. 공간 분해능이 대폭 향상됐다. 0.1Å의 공간 분해능으로 자기장과 전기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었다. 원자의 지름보다 10배 이상 작은 공간에서 나타나는 변화까지 감지할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진은 개발한 양자 센서가 양자 물질과 소자 설계, 새로운 촉매 개발, 생화학 분자의 양자 특성 탐구 등에 폭넓게 응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동 제1저자 타너 에삿 독일 율리히연구소 연구원(전 IBS 양자나노과학 연구단 박사후연구원)은 “우리 연구진이 개발한 양자 센서는 MRI만큼 풍부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동시에 단일 원자 수준의 공간 분해능을 갖춘 게임 체인저”라며 “가장 기본적인 수준에서 물질을 탐구하고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