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황정아 의원 "작년 수사기관 통신자료 조회 515만 건"
민주 황정아 의원 "작년 수사기관 통신자료 조회 515만 건"
  • 김용우 기자
  • 승인 2024.08.08 10: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기부 자료 분석 결과... 2022년 대비 30만 9000건 늘어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대전 유성구을)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대전 유성구을)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검찰·경찰·국정원·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등 수사기관이 들여다본 통신자료가 지난해에만 515만 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검찰이 들여다본 통신자료는 161 만 건에 달했다.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은 이 같은 내용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통신자료(통신이용자정보·통신사실확인 자료) 조회 건수를 분석한 결과를 8일 공개했다.

황 의원 공개자료에 따르면 수사기관들의 통신자료 조회 건수는 2019년 654만 112건에서 2022년 483만 9554건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2023년 514만 8570건으로 2022년 대비 30만 9000건 가량 급증했다.

이 중 검찰이 들여다본 통신자료는 2022년 141만 5598건에서 2023년 161만 2486건으로 19만 6800건 가량 증가하며 한 해 증가분 30만 9000건 중 64%를 차지했다.

해당 전화번호가 누구인지 확인하는 통신이용자정보 조회 건수만 따로 분석한 결과, 전체 수사기관은 2022년 433만 9486건에서 2023년 463만 1310건으로 29만 1824건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검찰의 증가분은 17만 3772 건으로 한 해 증가분의 60%가량을 차지했다는 것이 황 의원의 설명이다.

통신이용자정보보다 더 민감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법원의 허가가 필요한 통신사실확인 자료 조회는 2022년 50만 68건 대비 2023년 51만 7260건으로 1만 7192건 증가했다.

특히 검찰의 경우 통신사실확인자료 조회가 10만 9978건에서 13만 3094건으로 2만 3116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찰은 8706 건이 줄었다.

2022년 9월부터 시행된 검경 수사권 조정법에 따라 검찰의 수사권이 부패·경제 등의 범죄로 한정된 상황에서 통신자료 조회의 급증은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고 황 의원은 주장했다.

황정아 의원은 “윤석열 정권의 수사기관, 특히 위헌적 시행령으로 수사권을 확보한 검찰이 전방위적 '묻지마 사찰'을 자행하는 행동대장이 된 꼴”이라며 “대선 당시 공수처의 통신자료 조회에 ‘미친 짓’이라며 구속수사해야 된다고 외치던 윤석열 대통령이 국회와 언론인 사찰에 대해서는 입을 다무는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