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박 의원은 지난해부터 줄곧 국회 의정활동을 통해 관철시킨 충청권철도 조기착공과 관련하여 대전 도심 통과 구간이 반드시 도시철도 기능을 해야한다는 점을 설명하고, 당초 국토해양부의 제2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대로 복선전철 건설과 중간역 신설을 주장했다.
박 의원이 이같이 강하게 복선전철과 중간역 신설을 관철시키려는 이유는 충청권철도가 당초 계획대로 복선전철로 건설되어야 10~20분간의 배차간격으로 도시철도 운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교통 소외 지역인 대덕구가 도시철도 2호선 건설에서도 소외되었다는 측면에서 충청권철도는 대덕구에서 도심으로 이어지는 유일한 대중교통이 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실제로 박 의원은 지난 해 8월 26일, 10월 31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회의에서 충청권철도 조기 착공과 중간역 신설을 집요하게 요구해 장관으로부터 예타 확정과 중간역 신설 검토에 대한 답변을 받아낸 바 있다.
박 의원은 이 자리에서 철도 이외에 대덕구 교통 소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책으로 동서번영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국비지원을 요청했다.
동서번영로는 박 의원이 총선 때 제시했던 공약이며 대전재생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동서축을 연결하여 교통난 해소 및 서구와의 통행시간을 단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산업단지 인근의 낙후 지역을 병행개발하는 ‘1석2조’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박 의원은 강조했다.
게다가 지난 4일 국토교통부가 박근혜 대통령에게 업무보고를 하면서 대전을 비롯하여 노후화가 심각한 산업단지에 대해 재생 계획을 수립하고, 첨단산업을 유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는 측면에서 동서번영로 개설이 힘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은 “충청권철도와 동서번영로는 대덕구 발전의 전기를 마련할만한 사업이 될 것”이라며 “반드시 관철시켜 대덕구가 대전의 중심지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지난 해 6~7월 기획재정부 장관, 국토해양부 장관을 각각 만나 이같은 지역 현안에 대해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내각이 바뀐 뒤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금일 방문을 계기로 담당 기관들을 지속적으로 만나갈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