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본격화하면서 후보들의 대전 지역 공약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대선주자들은 일제히 대전의 과학수도를 겨냥, 미래먹거리 산업과 연계한 지역 경제에 초점을 두고 있다.
먼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대전을 세계적인 과학수도로 만들겠다는 공약을 약속했다.
특히 대덕연구특구를 ‘글로벌 과학기술 혁신 클러스터’로 전환하고, 이를 위해 글로벌 융합연구 네트워크 강화, 인재 양성 인프라 지원, 삭감된 R&D 예산 대폭 확대, 연구원과 기술자의 정주여건 개선 및 사기진작을 위한 성과 지원 확대 등을 내걸었다.
충청권 첨단 산업벨트 구축의 일환으로 대전을 AI와 우주산업 중심지로 육성하겠단 구상도 제시했다.
또 과거 혁신도시로 지정됐던 대전역세권과 연축지구에 지역 경쟁력을 고려한 공공기관 유치하겠단 공약도 포함됐다.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수도권 공공기관 2차 이전을 추진해 강한 자신의 실천력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밖에도 이 후보는 대전과 세종, 오송, 청주공항을 연결하는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 착공, 대전 도심 철도 지하화의 단계적 추진도 공약했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전략 산업·기술로 대한민국을 이끄는 대전'을 통해 지역민 표심을 공략했다.
김 후보는 과학 기술과 지리적 거점 활용, 제2 중부권 판교 라인 형성, 대전·충남 지방 분권·행정 체계 개편 모델 구현, 지역 숙원 사업 해결과 지역 발전 등 대전 4대 공약을 약속했다.
김 후보는 대덕 양자클러스터 구축, 반도체 종합 연구원 설립, 충청권 국방 우주 첨단 기술 융합 허브 구축, 인공지능(AI) 기반 융합 혁신센터 구축, 핵융합 에너지 클러스터 구축, 태양광 기업 공동 활용 연구 센터 국가전략 기술특화 연구소 지정, 기후 테크 연구·실증·사업 허브 구축 등을 공약했다. 과학기술산업 인프라 확장에 공을 들인 모습이다.
또한 충청권 메가 시티 조성 촉진을 위해 대전·충남 행정 통합을 모델로 한 미래 지향적 행정 체제 개편, 호남 고속도로 지하화와 확장,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건설, 도시철도 3~5호선 추진, 충청권 제2외곽 순환고속도로 건설, 국립대전현충원 연계 나라사랑공원 조성, 자운대 공간 재창조 사업, 대전교도소 이전, 대전 노루벌 국가 정원 조성 등 대전시가 각당에 요청한 대선 공약이 대거 포함됐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도 과학수도 대전을 완성시키는 것을 핵심 공약으로 내세웠다.
이 후보 10대 공약에 담긴 '국가과학영웅 예우제도'는 연구단지·시설이 밀집한 대전을 겨냥한 공약으로 꼽힌다.
국가과학영웅 예우제도는 성과에 따라 월 최대 500만원 한도까지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한 '과학기술 성과연금'이다.
이는 과학기술 연구원들이 훌륭한 성과를 냈을 때 국가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는 게 핵심이다.

